[생리의학] 1905년 - 결핵 연구(하인리히 헤르만 로베르트 코흐)


-
1843 ~ 1910하인리히 헤르만 로베르트 코흐Heinrich Hermann Robert Koch독일의 의사. 괴팅겐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66년에 졸업한 후, 여러 지방에서 진료 활동을 하였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일어난 1870년에는 야전의사로 복무하였다. 1882년에 결핵균을, 1885년에 콜레라균을 발견하였으며, 1890년에는 결핵진단용 시약 투베르쿨린을 만들었다. 1885년 베를린 대학교 위생학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891년에는 전염성 질병 연구소 소장이 되어 1904년까지 재직하였다. 소와 인간의 결핵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인간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염이 결핵 발병의 가장 중요한 원인임을 밝혀내는 등 결핵에 관한 근본적이고 선구적인 발견을 하였다.
수상 업적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05 was awarded to Robert Koch “for his investigations and discoveries in relation to tuberculosis”. 1905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결핵연구”로 로베르트 코흐에게 수여되었습니다.수상 추천문
전하,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세균학의 선구자이며 현재 가장 탁월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로베르트 코흐 박사님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결정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 연구는 그의 연구 활동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지만, 이것으로 박사님은 지난 수십 년간 의학 발전을 주도하였습니다. 비록 이 자리가 올해의 의학상에 관해서만 언급한다고 해도 저는 박사님의 주요 활동을 간단하게나마 전체적으로 열거하고자 합니다. 결핵에 관한 그의 연구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알면 그 연구의 의미는 보다 명확해집니다. 세균학의 발달에서 코흐 박사님의 연구가 갖는 중요한 의미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가 세균학을 처음 연구하기 시작했던 당시의 상황을 알아야 합니다. 그 당시 파스퇴르 박사는 획기적인 연구로 세균학의 기초를 완성하였으며, 리스터 박사의 무균 상처치료법으로 의학은 기술적인 면에서도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의 성공적인 연구에 뒤이어, 개개인의 병인을 찾아내고 치료하려는 세균학은 아직도 연구 중입니다. 바로 이 분야에서 코흐 박사님은 선구자였습니다. 탄저병과 티푸스는 모두 독특한 외형의 미생물이 원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균과 질병의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미생물이 질병을 일으킨다는 근거는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부족할 뿐 아니라 실험적으로 발견된 것도 별로 없습니다. 건강한 장기에 세균성 병원균이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알지 못합니다. 이것은 저명한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또 다른 연구자들로부터는 지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 질병에서 관찰된 세균이 과연 이 질병의 원인인지, 또는 이러한 연구가 병리학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는 것인지는 여전히 알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한 가지 또는 동일한 질병이라 해도 연구자에 따라 미생물이 발견되기도 하고 발견되지 않기도 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에서 여러 연구자가 관찰한 세균들도 종종 외형들이 달라, 이들이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가 없었습니다. 심지어 전혀 다른 질병에서 같은 종류의 세균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세균과 병리학의 인과관계에 관한 의심을 증폭시켰습니다. 부분적으로 똑같은 질병이 동일한 세균 때문에 일어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부분적으로 같은 세균이 전혀 다른 질병을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기 때문에, 발견된 세균이 질병의 본질적인 원인이라고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그것보다는, 모든 세균이 유기체에 영향을 미쳐서 질병을 일으킨다고 가정하는 것이 훨씬 쉬웠습니다. 실험으로도 세균이 유기체를 침범한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없었으므로, 불확실성은 더 커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코흐 박사님은 1876년부터 탄저균 연구를 위해 세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2년 후에는 상처로 생기는 질병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견해와 제기한 의문은 박사님의 세균학 연구가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박사님은 또한 위생에 관한 원칙을 확립하고 창의적인 연구를 지속함으로써 현대 세균학의 기초를 정립하였습니다. 박사님은 실제로 세균이 질병을 일으킨다면 그 세균은 항상 질병에 걸린 개체에서 발견되어야 하며, 이 세균의 병리학적인 과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박사님은 모든 세균이 일반적으로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음을 또한 강조하였습니다. 오히려 각각의 세균이 갖는 특이한 성질을 찾아내고자 했습니다. 만일 어떤 세균이 형태상으로는 다른 세균과 유사할지라도, 생물학적 성질은 서로 다릅니다. 다시 말해, 모든 질병은 각각의 독특한 세균이 원인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질병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세균생물학에 관해 알아야만 합니다. 코흐 박사님은 세균이 어떻게 질병을 유발하는지를 연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에 관련된 미생물을 발견하고 그 미생물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이와 같은 연구에 대한 기대가 매우 낮았습니다. 코흐 박사님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선구자였으며 이미 그 해결의 열쇠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에서 일반적인 방법론을 세우는 것은 각각의 특별한 경우에 알맞은 기술을 발견하는 것만큼 중요합니다. 코흐 박사님은 이런 부분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하여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고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실험과 관련한 박사님의 초기 연구 업적과 더불어 조직염색 및 현미경 사용 기술의 발전에 박사님이 중요한 업적을 세웠다는 점을 언급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박사님은 고체 배지 위에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이 각각 콜로니를 형성하도록 성장시켜 순수한 미생물을 분리해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 방법은 지금도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상처의 감염이 질병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한 직후에, 코흐 박사님은 베를린의 보건부에 소속되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결핵, 디프테리아, 티푸스 등과 같은 중요한 질병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주로 결핵을 연구하였고, 후자의 두 가지 질병에 대한 연구는 두 명의 학생과 보조원인 로플러와 가프키에게 맡겼습니다. 그들은 이 세 가지 질병에서 발견한 특정 세균에 관해 자세하게 연구하였습니다. 코흐 박사님이 수행한 연구와 두 학생이 진행한 연구, 그리고 코흐 박사님이 간접적으로 수행한 연구들은 지난 수십 년간에 걸쳐 이루어진 세균학의 발전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저는 이미 언급한 것과 더불어 코흐 박사님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 중에서 몇 개의 가장 중요한 업적들을 열거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만족합니다. 독일 콜레라 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코흐 박사님은 이집트와 인도에서 콜레라를 일으키는 기생충을 연구하여 콜레라 병원균을 발견하고 이 병원균의 생존 조건을 밝혀냈습니다. 이로부터 얻은 경험들은 이 치명적인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실질적으로 응용되었습니다. 또한 코흐 박사님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페스트, 말라리아, 열대 이질 및 이집트 눈병에 관해서도 연구하였습니다. 그리고 열대 아프리카에서 티푸스에 관한 연구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그는 우역rinderpest(소의 전염병), 수라 질병Surra disease(가축에게 나타나는 원충류 질환), 텍사스 열병, 그리고 해안 열병과 체체파리tsetse fly(일명 소를 죽이는 파리)가 전염시키는 트리파노소마 질병 등과 같이 주로 열대지방의 소에게 발생하는 치명적인 열대병을 연구하였습니다. 박사님은 미생물의 배양과 분리 방법을 완성하였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위생에 매우 중요한 소독제 및 살균방법, 그리고 콜레라, 티푸스 및 말라리아 등과 같은 전염병의 조기 탐지 및 치료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부터는 노벨상의 수상과 관련된 일련의 연구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결핵이 전염성 질병이라는 생각은 오래전 모르가니 박사가 제기하였습니다. 코흐 박사님이 연구를 시작하기 전부터 이미 동물이 결핵에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생물이 결핵을 일으킨다는 것은 증명되지 않았고, 이에 관해서는 저명한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쟁이 있었습니다. 코흐 박사님은 1882년 3월 24일, 베를린 생리학회에 처음으로 결핵연구에 관한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강연의 내용은 약 2쪽 정도에 불과했지만, 그 안에는 발견된 균이 결핵균이라는 증거와 그 균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감염 조직을 염색하는 방법, 사람이나 가축에서 결핵이 진행되는 과정, 결핵균을 순수하게 배양하는 방법, 그리고 결핵균에 감염된 동물을 관찰한 결과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었습니다. 그는 또한 이 발표를 통해 결핵균이 숙주에 의존하여 성장하고 번식한다는 것, 결핵이 폐병 환자의 가래를 통해 전염된다는 것, 그리고 우형牛型 결핵증에 걸린 소에 의해서도 결핵은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이 획기적인 발견은 결핵에 관련된 세균학의 특징적인 윤곽을 확립하고, 이 질병에 대한 앞으로의 광범위한 연구 분야를 제시하였습니다. 코흐 박사님은 연구에 대한 무한한 열정으로 이 질병에 대한 연구를 최근까지 계속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어려운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880년대에는 공적인 임무 때문에 오랫동안 이 연구를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박사님은 1890년에 결핵과 관련하여 또 하나 획기적인 업적을 세우게 됩니다. 박사님은 결핵균의 배양 과정에서 생성되는 투베르쿨린(결핵 진단용 시약)이라는 물질이 숙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이 물질은 강한 반응을 일으켰으며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환자들과 의사들의 질병 치료에 대한 큰 기대와 욕구 때문에 다소 부풀려지기도 했지만 이 방법은 실질적으로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는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최근에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그 자체로도 결핵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생각되어 제한적으로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초기단계나 잠복기의 결핵 진단에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소의 결핵 치료에도 응용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혈청 치료에 대해서도 선구자적인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 혈청 치료법은 다른 질병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최근에, 아니 정확하게 1901년에 런던의 결핵학회는 인간의 결핵과 소의 결핵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때 코흐 박사님은 그의 결핵 연구에 관한 업적에 중요한 사실을 또 하나 추가하게 됩니다. 사람의 결핵은 대체로 소에게 전염되지 않는 반면, 사람은 소의 결핵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그는 이 두 질병의 결핵균 사이에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소에서 사람에게 결핵이 전염된다는 것은 경험적으로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에 코흐 박사님은 사람의 결핵 전염에는 소의 결핵보다는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염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이 두 종의 결핵 사이에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견해와 더불어 소의 결핵은 상대적으로 해롭지 않다는 코흐 박사님의 의견은 심한 반대에 부딪쳤습니다. 이로 인해 코흐 박사님에게 정반의 견해 또한 강한 지지를 받게 됩니다. 결국 코흐 박사님의 이 발표는 오랜 시간 일련의 연구들로 이어졌습니다. 사람 결핵균에 소가 감염될 가능성이 낮다는 그의 주장은 이제 어느 정도 확립되었습니다. 또한 이 두 결핵균은 성장 방법부터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 외에도 많은 차이점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비록 분명한 해답은 아닐지라도 소의 결핵이 인간에게 전염될 가능성이나 그 빈도 등에 대한 의문들을 해결할 가능성이 보다 높아졌습니다. 소에게 나타나는 결핵균의 종류가 실제로 사람에게서도 발견되었으며, 1901년의 연구 결과보다 더 신빙성 있는 결과들을 많이 얻음으로 인해 이 문제는 계속 관심을 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소에 결핵이 나타나지 않은 지역 또는 소의 결핵이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결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염이 결핵의 발병에 가장 중요하다는 코흐 박사님의 주장에 힘을 실어 주었습니다. 학문적으로 주목받지 못하는 새로운 분야를 앞서서 이해할 수 있는 연구자는 흔치 않습니다. 로버트 코흐 박사님처럼 훌륭한 연구 업적을 성취한 연구자도 흔치 않습니다. 인류에 대해 매우 중요하고 많은 발견이 이와 같이 한 개인으로부터 비롯되는 것 또한 매우 드문 일입니다.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노벨위원회는 최근까지도 열정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그의 가장 중요한 연구 분야인 결핵 연구에 올해의 노벨상을 수여함으로써 이에 대한 존경을 표현하고자 합니다. 로베르트 코흐 박사님.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박사님께 결핵에 관한 연구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올해의 노벨 의학상을 수여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위원회를 대표하여 박사님께 존경을 표합니다. 결핵에 관한 근본적이면서 선구자적인 발견이 한 사람에 의해 이렇게 많이 이루어진 적은 없었습니다. 박사님의 선구자적인 연구는 결핵과 관련된 세균학을 발전시켰으며 박사님의 이름은 의학 연대기에 영원히 기록될 것입니다.카롤린스카 연구소 소장 K. A. H. 뫼르너
- 다음
- 안개 속에 갇혀있는 것처럼 보이는 소용돌이 은하 속 분자구름 2014.12.08
- 이전
- 거주가능한 행성에 대한 매우 성공적인 실마리 발견 201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