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더위에 집 나간 '가을 전어'...급변하는 어장 환경

작성일 2024-10-29

*이미지 클릭 시 해당 영상으로 이동됩니다*


가을철 별미로 불리는 '전어'가 품귀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산물시장이나 마트에서도 전어를 구하기 어려워 가격도 두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수온 상승이 주요 원인인데,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오동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펄펄 뛰는 전어로 가득 차 있어야 할 어항이 썰렁합니다.


[최우창 / 수산시장 점포주 : (공급량이) 2/3가 줄어 가지고 너무 팔기가 힘들어요. 너무 비싸 가지고. 가격이 작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라 가지고.]


올해 전어의 어획량이 크게 줄면서 경매시장에 풀리는 양이 확 줄었기 때문입니다.


올 1월부터 8월까지 어획량은 3,38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마트에서도 전어가 모습을 감췄습니다.


평소 이맘때면 이곳이 전어로 가득 차 있어야 하는데 지금 이렇게 딱 한 팩이 남아 있습니다.


가을철 별미로 전어를 찾던 소비자도 비싼 가격에 구매를 포기했습니다.


[임지영 / 서울시 고척동 : 전어 가을에 많이 먹었는데 이제는 잘 안 보게 되더라고요. 비싸서 못 먹을 것 같고.]


우리나라의 지난 9월 해수 평균 온도는 27℃로 지난 10년 평균치보다 무려 3.5℃가 높았습니다.


주로 15℃에서 21℃에 서식하는 전어의 어획량이 줄어든 것입니다.


더워진 바다 때문에 공급량이 줄어든 건 꽃게도 마찬가지


수협에 따르면 지난달 꽃게 위판량은 2,707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5%가 줄었습니다.


[김미순 / 수산시장 점포주 : 요즘에는 조금 어획량이 줄어 가지고 가격이 많이 올라갔어요.]


반면 높은 수온에 잘 자라는 새우는 공급량이 늘었고, 남해에선 열대성 어종이 발견되는 등 우리 바다 환경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폭염이나 이상기후에 따라 우리 바다의 온도까지 달라지면서 어종이나 어획량에도 큰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는 대책도 시급해 보입니다.


YTN 오동건입니다.



#전어 #전어품귀 #수온상승 #이상기후 #가을전어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댓글 남기기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