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의학] 1974년 - 세포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연구(알베르 클로드, 크리스티앙 르네 마리 조제프 드 뒤브, 조지 에밀 펄라디)


-
1898 ~ 1983알베르 클로드Albert Claude벨기에 태생 미국의 세포학자. 1928년에 리에주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베를린 대학교와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에서 연구하였다. 1929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록펠러 의학 연구소에 들어가 연구하였다. 록펠러 대학교 및 브뤼셀에 있는 리브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1948년부터 1971년까지 쥘 보르데 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자신의 동료들과 함께 전자 현미경의 세포 샘플을 만드는 데에 성공하였다.
- 1917 ~크리스티앙 르네 마리 조제프 드 뒤브Christian Rene Marie Joseph de Duve벨기에의 세포학자이자 생화학자. 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학위(1941년) 및 화학 박사학위(1946년)를 취득한 후, 1947년부터 생리화학을 강의하였다. 1951년에 정교수가 되었으며, 1962년에 뉴욕에 있는 록펠러 의학연구소의 교수가 되어 두 학교의 교수를 겸하였다. 세균 또는 노쇠한 세포를 용해시키는 구성 성분인 리소좀을 발견함으로써 질병 예방과 치료 수단의 개발에 기여하였다.
- 1912 ~조지 에밀 펄라디George Emil Palade루마니아 태생 미국의 세포생물학자. 1940년에 부쿠레슈티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1945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록펠러 의학연구소에서 연구하였다. 1958년에 같은 연구소의 교수가 되어 1973년까지 재직한 후, 1973년에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 1990년부터는 샌디에고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재직하였다. 전자 현미경을 고차원적 수준으로 발달시킴으로써 세포의 구조 및 기능 규명에 기여하였다.
수상 업적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74 was awarded jointly to Albert Claude, Christian de Duve and George E. Palade “for their discoveries concerning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cell”. 1974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연구”로 알베르 클로드, 크리스티앙 드 뒤브, 조지 펄라디에게 공동 수여되었습니다.수상 추천문
전하,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1974년도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의 구조와 기능, 즉 세포생리학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오늘의 수상자들은 이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는 첫 번째 연구자들입니다. 하지만 이 분야의 선구자로는 1906년도 수상자인 골지` 박사와 카할` 박사가 있습니다. 이들은 광학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여 노벨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광학현미경은 19세기에 마치 새로운 세상의 문을 연 것처럼 수많은 연구에 사용되었지만 여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세포의 구성성분들이 너무 작아 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세포의 내부구조, 구성 성분들의 상호관계, 또는 이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즉 세포 내부는 마치 물건들이 질서없이 흐트러져 있는 바구니처럼 구성 성분의 기능을 전혀 알 수 없는 것이라고 여겨졌습니다. 실제로 세포는 바늘끝의 백만 분의 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 매우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세포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 성분들은 작은 세포의 백만분의 일 정도 크기밖에 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그렇다고 코끼리 세포가 생쥐 세포보다 큰 것도 아니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보다 큰 실험동물을 사용한다 해도 세포 연구에는 별다른 도움이 될 수 없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금세기 초반 몇십 년 동안 세포 연구는 전혀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1938년에 이르러 전자현미경이 등장하면서 세포 연구는 활력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의 차이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과거 현미경이 책의 제목만을 읽었다면 전자현미경은 책 내용을 전부 읽는 것과 같았습니다. 우리는 이제 이 도구로 세포 내 구성 성분들을 관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그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표본 세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책을 읽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은 여전히 덮여 있었던 것입니다. 덮여 있던 이 책을 열어 처음으로 읽은 사람이 바로 알베르 클로드 박사님과 그의 동료들입니다. 1940년대 중반에 그들은 문제를 해결할 돌파구를 찾았고 전자현미경의 세포 샘플을 성공적으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들은 아직도 많았습니다. 때문에 이들의 성공은 한 줄기 섬광과도 같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이 전자현미경을 고차원 수준으로 발달시킨 사람이 바로 조지 팔라디 박사님입니다. 우리가 세포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구조 및 형태와 더불어 구성 성분의 화학적인 조성도 규명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체 세포 또는 조직을 이루는 성분들은 너무나 많기 때문에 이들을 일일이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리고 그 크기도 너무 작아 각각의 구성 성분들을 독립적으로 연구하기도 힘듭니다. 하지만 클로드 박사님은 마침내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는 세포를 먼저 갈고, 원심분리하여 여러 성분 중에서 커다란 것들을 제거하였습니다. 이 방법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팔라디 박사님은 이 방법을 개선하였으며 크리스티앙 드 뒤브 박사님은 이와 관련하여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세포의 기능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팔라디 박사님은 세포가 성장하고 물질을 분비할 때 작용하는 구성성분들도 밝혀냈습니다. 1906년도 수상자인 카밀로 골지` 박사는 골지체라는 세포 구성성분을 발견하였고 팔라디 박사님은 이 골지체의 역할을 증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세포 내에서 단백질을 생성하는 리보솜도 발견하였습니다. 아주 작은 세포 내에서조차 유기물질의 생성, 폐기물의 연소와 제거는 균형있게 조절되고 있습니다. 드 뒤브 박사님은 이때 작용하는 리소좀이라는 아주 작은 구성 성분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성분은 세균 또는 노쇠한 세포 등을 삼키고 용해시켰습니다. 실제로 이 과정은 산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지만 건강한 세포는 자신의 세포막으로 스스로를 산으로부터 보호하므로 전혀 해를 입지 않습니다. 그러다 세포막이 이온화 방사선 등으로 손상되면 리소좀은 세포의 자살 도구로 이용됩니다. 이와 같은 리소좀은 임상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이에 관한 드 뒤브 박사님의 연구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 수단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되었습니다. 요약하면 오늘 1974년도 수상자들의 연구는 생물학의 기반이 되는 동시에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세포의 기능을 밝혀 주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생리학뿐 아니라 의학에서도 그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알베르 클로드 박사님, 크리스티앙 드 뒤브 박사님, 조지 팔라디 박사님. 지난 30년 동안 세포생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탄생되었고, 또 발전해 왔습니다. 그리고 세 분은 이 연구 분야의 기본적인 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세포의 기능을 규명하는 등 큰 공헌을 하였습니다. 카롤린스카 연구소를 대표하여 세 분께 따뜻한 축하를 전하며 이제 전하께서 수여하시는 상을 받으시기 바랍니다.카롤린스카 의과대학 연구소 에릭 애드스트룀
- 다음
- 중국의 플라스틱 필름, 시트 시장 2014.12.08
- 이전
- 일본, 무기 재료만으로 메탄을 만드는 인공 광합성 실현 201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