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39. 보석경단

작성일 2011-01-20

분야 :
생명과학

대상 : 고등

과학적 설명 : 이 사진은 조균류 털곰팡이과의 거미줄곰팡이(Rhizopus nigricans)를 식빵에 배양하여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거미줄곰팡이가 속해있는 균류는 엽록소 등과 같은 동화색소가 없고, 광합성을 하지 않고, 균사(hypha)에서 효소를 분비하여 양분을 흡수하여 살기 때문에 배설물에 붙어서 부생생활을 한다. 또 균류는 균사의 격벽 유무와 생식방법에 따라 접합균류, 자낭균류, 담자균류 3가지로 분류하는데 거미줄곰팡이가 속한 접합균류는 균사에 격벽이 없으며 접합포자로 번식을 한다. 거미줄 곰팡이는 불결한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 매우 흔한 곰팡이지만 사람에게 해롭지 않다. 흔히 볼 수 있는 곰팡이로 봄·여름에 딸기와 같이 단맛이 있는 열매에 붙어 하룻밤 사이에 거미줄에 걸린 것 같이 그 열매의 표면을 덮어버릴 정도로 번식이 잘된다. 균사는 기질의 표면을 덮고 자라면서 기는줄기와 같이 여러 곳의 기질에 헛뿌리를 내리면서 가지치기를 한다. 헛뿌리가 있는 곳에서 몇 개의 균사가 공중에 곧게 서고, 그 끝에 공 모양의 자루가 생겨 그것이 포자낭이 된다. 포자낭(내성포자를 형성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 속의 포자(spore)는 건조함에 따라 외막이 잘게 부서져 사방으로 흩어지고 뒤에 만두형의 주축이 남는다. 위 사진에서 동글동글한 모양이 포자인데 어두운 갈색이며, 그 수가 무수히 많다. 저장 고구마의 무름병을 일으키는 유해균이지만 푸마르산(흰색의 결정성 가루, 식품의 가공조리에 있어 신맛을 주기 위한 첨가물로 쓰임)을 생성하는 작용이 있고, 보이차의 입에 달라붙고, 담백한 맛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주사전자현미경, 5,430배)

주관/미학적 설명 : 이 사진은 색을 입히고 나니 마치 한국 고유의 음식인 경단을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경단은 한국의 고유의 떡으로 찹쌀가루나 수수가루를 뜨거운 물에 익반죽하여 밤톨만한 크기로 동글동글하게 빚어서 삶아 내어 고물을 묻히고 고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불린다. 위 사진은 포자 겉 부분에 분홍색의 아름다운 빛을 띠는 보석을 묻힌 경단으로 표현했는데 경단에 묻힌 분홍색 빛이 강한 이 고물은 스피넬보석이다. 스피넬 보석은 여러 가지 아름다운 색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분홍색의 빛을 띠는 스피넬이 최상급이라고 한다. 한국적이고 아름다운 고유의 떡인 경단에 분홍빛 최상의 고물인 보석스피넬을 묻히니 사진에 표현된 보석경단의 아름다움은 배가 되는 것 아닌가?

다음
38. 폭포 2011.01.2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