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벌레만도 못하다고

작성일 2011-01-04

 

생태 전문지 월간 <자연과생태>의 발행인이자 편집장인 저자는 출판인이기에 앞서 어린 시절부터 곤충을 사랑한 마니아였다. 그는 <곤충들아 고마워>라는 책을 통해 곤충에 대한 불쾌한 선입견을 버리고 친근한 마음을 갖도록 했으며, <주머니 속 곤충도감>으로 실용적 접근을 시도하더니, 이번에 『벌레만도 못하다고』에서는 곤충의 생태를 빌어 사회의 속성과 인간의 갈등을 이야기한다.

 

 

도서명 : 벌레만도 못하다고

저   자 : 조영권
출판사 : 필통
분   류 : 대학일반

 

 

 

 

저자 조영권 조영권은 월간 <자연과생태>의 발행인이며 편집인이다. 자연 속에 살아있는 모든 것에 관심 갖고 여행하며 사진 찍다가 우리 동식물의 신기한 생태 이야기를 더 많은 이들과 나누고 싶어 생태전문지를 창간했다. 날아다니는 작은 생명체인 곤충에 유독 관심이 많아 그들을 관찰하고 사진 찍고 글로 기록하는 일을 꾸준히 해왔으며, 세상이 모든 사람들이 편견 없는 시선으로 주변의 생물들을 이해하기를 바란다. 저서로는 <곤충들아 고마워!> <주머니 속 곤충도감> 등이 있다.

 

 

 

 

시선 곤충을 통해 세상 보기 선하게 바라보기_천사와 곤충의 닮은 점 탈바꿈하며 자라는 곤충_거듭나지 않으면 죽는다 또 하나의 언어, 표정_곤충에게는 없지만 우리에게 있는 것 얽히고설킨 대립과 공생_더불어 사는 아름다움 곤충의 처세술_살아남는 자가 곧 이기는 자? 새로 쓰는 경제 용어_효율 100퍼센트, 곤충의 경제적 생활 남과 여, 진정한 강자는 어느 쪽일까?_종족 번식을 위한 암수의 각기 다른 계산법 사람이 만물의 영장이 된 이유_사람과 곤충, 짝짓기의 차이점 ‘사회’라는 수레바퀴를 돌리는 힘_지구를 가꾸는 작은 영웅들 그대로 보기 그들이 사는 법 지키려는 의지가 허물려는 의지보다 강하다_모든 암컷은 여왕개미를 꿈꾼다 소극적인 성격은 더욱 소극적으로 진화한다_뒷걸음치는 명주잠자리 애벌레 눈앞의 한 걸음보다 인생의 긴 걸음을 생각하라_판단보다 행동이 앞서는 길앞잡이 기대가 이어주는 삶의 연속성이 아름답다_남가뢰의 확률 낮은 생존게임 흉내 내며 살지만 비굴하진 않다_등에, 벌처럼 보여야 살아남는다 “힘을 내요. 상처는 치유하면 되잖아요.”_작은 것을 내어주고 목숨을 지키는 부전나비 조바심 내나 맘 편히 먹나 결과는 같더라_거위벌레와 바구미의 안달과 배짱 떼어 버릴 수 없으면 익숙해지기_바퀴 퇴치법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가을 연못_가을 하늘의 주인공 잠자리 뒤집어 보기 그들에 대한 오해 꿈꾸는 동안이 진정한 삶이다_하루살이의 꿈 오랜 기다림, 짧은 행복?_매미의 진정한 황금기 포식자의 위상 뒤에 가려진 진실_사마귀가 최고의 사냥꾼이 된 비결 작지만 용감한‘애벌레몬’들_애벌레의 자기 보호법 받기만 하는 사랑은 없다_말벌의 새끼 기르기 모시나비가 순결하다고?_곤충의 강요된 사랑 혼돈 속에서 가려낼 진실_인공 불빛에 길을 잃은 나방 존재의 가치, 개체의 저력_물여우나비 날도래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_“겨울에도 벌레가 있어요?” 에필로그 편리를 택하며 잃은 것 곤충과 함께 사라져 가는 가치

 

 

 

 

 

나는 이 책에서 오랫동안 관찰해 온 곤충의 생태를 소개하며, 그러는 동안 내가 느꼈던 사람과 세상에 대한 생각까지 털어놓고 있습니다. 낯부끄러운 면이 적지 않지만 곤충과 나의 관계 맺음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부분이라 내 자신의 역사를 일단락 짓는 마음으로 겸허하게 내려놓습니다. 나는 눈앞에 엄연히 존재하고 인간보다 수억만 년이나 앞선 시대부터 지구를 지켜온 곤충들을 바라보며 늘 우리 삶의 영원한 가치는 무엇일까 알고 싶어 했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는 곤충의 생태에 관한 과학적인 사실과 함께 지극히 주관적인 감상이 공존합니다. 곤충 생태를 다룬 부분은 관찰 결과와 자료에 충실했지만, 감상을 옮기면서 자칫 생태적 특성을 달리 해석한 부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혹시 오류가 있다면 따끔한 지적을 부탁드립니다. 그런 다음, 무엇보다 ‘ 곤충을 바라봄’과 ‘ 곤충을 통해 세상을 바라봄’에 무게중심을 두고자 했던 글쓴이의 뜻을 넓은 아량으로 헤아려 주시길 바랍니다. 글쓴이의 말 중에서 1. 곤충의 사회학, 에세이로 승화 시킨 곤충이야기 생물을 이야기하는 책, 또는 사람을 이야기하는 에세이......

 

 

 

※ 출처 : 교보문고

 

이전
생각 3.0 2011.01.04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