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히포크라테스 선서

작성일 2008-03-05

  * 도서명 : 히포크라테스 선서

  * 저자 : 반덕진

  * 출판사 : (주)사이언스북스

  * 선정부문 : 대학일반 창작 (2006년)

 

 

 

 

 

 

 

 

『메디컬 사이언스』6권《히포크라테스 선서》. 이 책은 의학의 근본정신인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돌아가 의학이 처한 현실과 한국 의학계가 처한 문제들을 철학과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히포크라테스 선서》에서는 그리스어 원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그 문장이 나올 수 밖에 없던 시대 상황과 의학 역사, 고대 그리스 시대 의사들의 삶과 생각을 재현했다. 또한 관련된 작품과 도기, 부조와 그림, 사진들을 담아 시대상을 충분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했다.

 

 

 

 

 

 

히포크라테스(전 460-375) 그리스의 코스 섬에서 태어나 의학의 정신과 윤리를 정초하여 서양 의학의 아버지로 평가 받고 있다. 그는 서양 의학의 여명기에 합리적 의학의 문을 연 자연주의자이자 의학을 인간학적 관점에서 인식한 휴머니스트로서 서양 의사들에게 이상적인 의사 상으로 인식되어 있다. 비록 그의 의술은 오늘날 과학적 의술 앞에 빛을 잃은 지 오래지만 의학의 이상이나 윤리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때면 언제나 “히포크라테스 정신으로 돌아가자”는 반성이 들려올 만큼 그의 위상은 지금도 여전하다. 히포크라테스 정신의 압축 파일이자 오늘날 의사들에게도 신선한 철학적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지상에서 서양 의학이 사라지지 않는 한 영원히 남을 불멸의 정전(正典)이다. 지은이 : 반 덕 진 히포크라테스 연구로 서울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석대학교에서 교양학부 교수(1995-2005)로 재직하다가 2006년부터 보건의료 관리학과로 옮겼다. 저자는 히포크라테스의 인문 정신과 건강 사상에 관심을 갖고 이 분야의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히포크라테스 의학과 황제내경 의학의 건강 사상에 관한 비교 연구』(박사학위 논문),『플라톤의 건강관에 대한 고찰』,『데카르트의 심신론이 의학에 미친 영향』등이 있고, 저서 중 ‘보건 의학서’로는「히포크라테스의 발견」, 「자연은 스스로 치유한다」,「생활 속의 보건 의료」 등이 있고, ‘인문 교양서’로는「신화, 교양으로 읽기」,「대학생을 위한 서양 고전 연구」,「동서 고전 200선 해제」 등이 있다.

 

 

 

 

 

 

* 헌사 * 책을 시작하며 * 선서 목차 제1부 선서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제1장 선서의 탄생 1. 의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의사에게는 국경이 있는가? 2. 서양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누구인가? 3. 선서는 왜 필요했는가? 제2장 선서의 전승 1. 선서의 2대 미스터리는 무엇인가? 2. 선서는 피타고라스학파의 선언문인가? 3. 선서와 제네바 선언은 어떤 관계인가? 제3장 선서의 독법 1. 선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2. 선서는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가? 3. 선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제2부 선서는 어떻게 시작되는가? 제4장 의학의 수호신 1. 왜 신들이 증인으로 나오는가? 2. 왜 제우스가 아니고 아폴론인가? 3. 왜 아스클레피오스는 의술의 신인가? 제5장 의학의 전승자 1. 당시 부모는 어떤 존재였는가? 2. 당시 스승은 어떤 존재였는가? 3. 스승과 제자는 운명 공동체인가? 제6장 의학의 계승자 1. 누구에게 가르칠 것인가? 2.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3. 의술은 비술인가? 제3부 선서의 내용은 무엇인가? 제7장 의학의 정신 1. 의학의 주체는 누구인가? 2. 의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3. 치료의 방법은 무엇인가? 제8장 의술의 사례: 치사 약 1. 고대에 자살은 정당화되었는가? 2. 치사 약은 언제 제공되었는가? 3. 치사약에 관한 규정은 안락사를 의미하는가? 제9장 의술의 사례: 낙태용 페서리 1. 그리스 사회에 낙태는 무엇이었는가? 2. 전면 금지인가, 특정 방법의 금지인가? 3. 낙태 문화는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제10장 의술의 사례: 절개 1. 절개의 규정은 선서 해석상의 난제인가? 2. 외과 수술은 고대에 천시되었는가? 3. 의료 사고에 대한 윤리적 인식이 나타났는가? 제11장 의사 윤리의 원칙 1. 삶이란, 그리고 의술이란? 2. 순수함과 경건함이란 무엇인가? 3. 개인 윤리와 직업윤리는 도덕적 합일이 가능한가? 제12장 의사 윤리의 사례: 성적 접촉 1. 왕진 중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2. 의사의 비행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3. 왜 동성애가 금지되는가? 제13장 의사 윤리의 사례: 비밀 준수 1. 의사의 언행은 왜 중요한가? 2. 비밀은 왜 보호되어야 하는가? 3. 모든 비밀이 보호되어야 하는가? 제4부 선서에 담긴 의사 상은 무엇인가? 제14장 의사의 이상 1. 의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2. 명예는 어떤 의사에게 주어지는가? 3. 겸손한 의사의 독백, 2500년을 메아리치다. 책을 마치며: 선서는 오늘 우리에게 무엇인가? 1. 선서는 있지만 정신은 없는가? 2. 의술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3. 의료 자본가인가, 의료 전문가인가? 4. 마탄의 사수인가, 자연의 도우미인가? 5. 의학은 몸의 철학이고, 철학은 영혼의 의학이다. 부록 1 : 선서 원문 부록 2 : 선서 영문 부록 3 : 제네바 선언문 원문 부록 4 : 제네바 선언문 수정본 * 주( y) * 참고 문헌 * 찾아보기

 

 

 

 

 

 

 

 

 

 

※ 자료제공 : 교보문고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