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단청무늬 종류

작성일 2012-12-10

 

 

 

 

한글품명

단청무늬 종류

설명

단청의 종류에는 가칠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금단청, 금모로단청 등이 있다.

전문설명

1) 가칠단청은 동일색으로 된 단청이며 가칠은 그 자체가 마무리칠이 될 때도 있고 긋기·모로 및 금단청의 바탕칠이 될 때도 있다. 가칠단처은 뇌록색과 석간주색이 가장 많이 쓰이며, 백분가칠, 육색가칠과 옥색 또는 분삼청가칠도 간혹 쓰일 때가 있다.2) 긋기단청은 백색과 흑색만으로 장식하는 단청이며 먹긋기를 한 다음 백분긋기를 한다. 단청중에 가장 단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부속건물에 많이 사용된다.3) 모로단청은 건물부재의 양끝 쪽에만 놓는 단청으로 우리나라 건물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된 단청이다. 모로단처의 기본 무늬는 연화이며 주화나 녹화무늬를 그리기도 한다.4) 금단청은 모로단청보다 화려하게 꾸며지고 중간긋기 부분에는 금문(錦文), 별화(別畵)등을 쓴 것이다.5) 금모로단청이란 머리초무늬에 금단청무늬를 넣은 단청을 말한다. 이외에 특수한 단청으로 호분단청, 칠보단청, 금은박 단청, 금은니단청, 옷칠단청등이 있다.

참고문헌

·김동현, 『한국 목조 건축의 기법』, 발언, 1995·김홍식, 『한국의 민가』, 한길사, 1992·이 심, 『한옥의 재발견』, 주택문화사, 1995

 

자료제공 국립중앙과학관

다음
너와집 2012.12.10
이전
대패 2012.12.1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