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고려첨성대

작성일 2012-12-09

 

 

 

 

한글품명

고려첨성대

시대

고려시대

설명

이 천문대에 대한 분명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그 설립연대나 기능 및 설치되었던 의기(儀器)등은 알 수 없으나 충렬왕(忠烈王) 34년(1308)에 태사국(太史局)과 사천대(司天臺)를 통합하여 서운관(書雲觀)을 창설하고 직제를 개편한 사실로 미루어 그 때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된다.

전문설명

이 천문대에 대한 분명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그 설립연대나 기능 및 설치되었던 의기(儀器)등은 알 수 없으나 충렬왕(忠烈王) 34년(1308)에 태사국(太史局)과 사천대(司天臺)를 통합하여 서운관(書雲觀)을 창설하고 직제를 개편한 사실로 미루어 그 때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된다.개성 만월대(滿月臺)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넓이 3㎡의 석판을 높이 3m가량 되는 5개의 기둥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석판의 네귀에는 돌난간을 세웠던 자리로 보이는 지름 15㎝가량의 구멍이 패어 있어 그 원형은 3m입방체의 석조물로 난간이 둘러 세워진 관측대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ㆍ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 문화사 대계』,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68ㆍ전상운, 『한국과학기술사』, 정음사, 1976

 

자료제공 국립중앙과학관

다음
경루 2012.12.09
이전
관천대 2012.12.09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