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카본 - 지구 온난화의 원인

우리의 지구는 ‘온난화’라는 열병에 걸려 괴로워하고 있다.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그리고, 지구가 건강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구 온난화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와 에어로졸을 합쳐서 ‘대기’라고 한다. 대기는 질소, 산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 중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 등은 지구를 감싸서 우리가 살기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온실효과라고 부른다. 하지만 인류가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숲을 파괴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산화탄소를 대량으로 배출하여 열을 지나치게 많이 가두게 되자, 대기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게 된 것이다.
이산화탄소 외에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 중 하나로 지목되는 것이 블랙카본이다. 블랙카본은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나 나무 등이 불완전연소해서 생기는 그을음을 말한다. 공학에서 말하는 카본블랙과 대체로 같은 물질이다. 이 블랙카본은 대기 중에서 열을 흡수하는 것은 물론, 지구가 태양빛을 반사하는 정도를 줄여 온난화에 영향을 준다. 지구의 만년설이나 빙하 등은 햇빛을 강하게 반사하는데, 그을음이 눈이나 얼음에 끼게 되면 반사율이 떨어질 것은 당연하다. 블랙카본이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이산화탄소 바로 다음이라고 주장하는 논문도 발표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
지난 100년간 전 세계 연평균 기온은 약0.74℃ 상승했으며, 현재와 같이 화석 연료를 지속적으로 사용한다면 2100년경에는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최대 6.4℃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세계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빙하 감소와 해수면 상승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지표면의 평균 빙하 및 적설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온도 상승이 심한 북반구에서는 연평균 북극의 해빙 범위가 감소하였다.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의 높이가 올라가는데,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20cm 가량 상승하였다. 북극곰, 펭귄과 같은 극지방의 생물뿐만 아니라 우리 인간들이 생활할 수 있는 터전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
가뭄 및 사막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고, 이로 인해 토양이 황폐해져 사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대륙과 중국 북서부 내륙지방의 사막화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사막화가 되면 농작물이 자랄 수 없어 질병과 영양실조로 인한 인명 피해가 늘어나게 된다.
이상기후 증가 최근에 지구 곳곳에서는 태풍, 홍수, 폭우, 엘니뇨와 같은 이상기후가 증가하여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빼앗아가고 있다. 태풍은 적도 지방의 뜨거운 바다에서 피어 오르는 수증기가 뭉쳐 생기는 폭풍을 동반하는 비구름이다.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면 수온도 상승하게 되고 그만큼 더 많은 수증기가 공급됨으로써 태풍의 위력은 더욱 세지고 자주 발생하게 된다. 엘니뇨란 열대 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6개월 이상 평년 수온보다 0.5도 이상 높은 경우를 말한다. 이로 인해 북남미 지역에 폭우가 발생하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날씨가 가물어서 농작물이 말라 죽고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 지구의 기온 상승에 따라 대기오염도 심해져서 호흡기 질환 등이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생태계에서는 나무의 조기개화, 새들의 조기 산란, 동식물의 서식지 변화, 연안지역의 백화현상 증가, 생명의 다양성 감소 등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
지구온난화의 대책
지구온난화를 해결하려면 지구 전체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온실 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대체 에너지를 개발해야 한다. 특히 경제 성장과 지구온난화의 해결 문제를 조화시키는 문제는 국제적인 갈등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하다. 지구온난화의 해결은 인류 전체에게 남겨진 아주 어렵고 힘든 과제이다. 그러나, 한 사람 한 사람이 나무를 가꾸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작은 습관을 실천하는 것 또한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한 일일 것이다.
자료제공 국립과천과학관
- 다음
- 스트로마톨라이트 - 원시 미생물의 흔적 2012.11.15
- 이전
- 쓰나미의 전파 - 비행기 속도로 퍼진다 2012.11.15
관련 콘텐츠
댓글 남기기
전체 댓글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