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분포(geometric distribution)

[요약] ‘기하적인 확률분포’를 뜻하며 기하학적인 개념(공간이나 도형 등)과 함께 등장한다. 물론 이 역시 수치적인 확률분포로 표현할 수 있으나 기하분포로 생각할 때 더 쉬워지는 경우가 많다.
‘기하적인 확률분포’를 뜻하며 기하학적인 개념(공간이나 도형 등)과 함께 등장한다. 물론 이 역시 수치적인 확률분포로 표현할 수 있으나 기하분포로 생각할 때 더 쉬워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수평선상에 점 하나를 찍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때 점의 좌표가 N(0, 1)을 따른다고 하면 점을 여러 개 찍었을 때 점들은 0 근처일수록 많이 발견될 것이다. 이런 경우는 기하분포로도, 수치적인 분포로도 볼 수 있으며 두 경우 별 차이가 없다.
이차원 평면상에 점을 하나 찍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때 x, y의 좌표 모두 N(0, 1)을 따른다고 하자. 이 경우에도 x, y의 좌표를 각각 계산하여 (복잡한 미적분 계산이 들어간다) 점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직관적으로 보았을 때 점은 0,0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이 드물어지는 원형으로 분포되리라는 것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하분포로 전환하여 생각하면 문제가 쉬워지는 경우가 많다.
- 다음
- 광차 [light time, 光差] 2016.12.13
- 이전
- 기하급수(geometric series, 幾何級數) 2016.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