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연구일지] 여름에 대발생하는 대벌레, 곰팡이 녹강균으로 조절하다!

작성일 2024-07-04
대
 

연구일지📚

 

여름철 쉽게 볼 수 있는 대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곰팡이 녹강균!

자세히 알아볼까요? 😊

곰팡이 녹강균이란?

곰
 

녹강균은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한 종류로,

곤충의 유충 등의 표피에 침입하여 체내에서 증식해 기생합니다.

주로 사마귀나 대벌레 등 다양한 곤충들을 기주로 삼죠.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녹강균에 의해 대벌레가 90% 이상 폐사하는 것을 확인하고,

친환경적으로 대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대벌레 대량 발생! 녹강균으로 막아내다

균
 

2020년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량 발생하는 대벌레!

공원 등 나무가 많은 곳에 떼로 출몰해 불쾌감을 주기도 하는데요~

국립생물자원관은 2022년부터 강원대학교 정종국 교수 연구진과

<대벌레 대발생 원인 분석 연구> 과정을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요!

위 과정에서 여름철의 높은 온도와 습도, 강수량이

녹강균의 활성을 증가시켜 대벌레의 폐사율을 높였다는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생태계의 중요한 조절 인자로 밝혀진 녹강균의 가능성!

위 연구 결과로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실용화 연구까지 추진될 예정이라구요~


환경도 지키고 대벌레 개체수도 조절하니,

일석이조!

국립생물자원관의 우리생물 연구생활🔎이 더 궁금하다면?

하단의 링크를 통해 더 자세히 이야기를 알아보세요!
 

대벌레 잡는 곰팡이 '녹강균' 효과 확인...방제 활용

수도권에 대량 출몰한 대벌레 떼, 곰팡이로 줄인다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