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의 기압 배치
낮동안 육지와 바다 표면의 공기는 가열되어 팽창되면서 가벼워지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바다보다 육지의 비열이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육지의 온도가 더 빨리 높아지므로 지표면에서 더 많은 공기가 상승한다. 따라서 지표면은 저기압이 되고, 바다 표면은 고기압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해안지방에서 부는 낮의 바람은 고기압인 바다 쪽에서 저기압인 육지 쪽으로 분다. 이 바람을 해풍이라고 한다.
상층의 기압배치는 이와 반대가 된다. 육지에서는 지표면에서 올라온 공기가 쌓여서 고기압이 되고, 바다에서는 상대적으로 저기압이 된다. 그러므로 상층에서는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로 불게 된다. 육지와 바다의 비열차에 의해 형성되는 낮에 부는 해풍과 밤에 부는 육풍을 합쳐서 해륙풍이라고 한다
[심화학습] 
 저기압 주위의 기압보다 기압이 낮으면 저기압, 높으면 고기압이라 한다. 저기압 주변에서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바람이 불어 들어온다. 이때, 바람은 북반구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저기압의 종류로는 열대지방에서 형성된 열대저기압과 열대 이외의 지역에서 생긴 온대저기압이 있다. 온대저기압은 전선을 동반하며, 비를 내리기도 한다.
고기압 고기압권 내에는 하강기류가 있어서 일반적으로 날씨가 좋고 바람이 약하며,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불어 나간다. 고기압의 종류로는 한랭한 공기가 퇴적된 키 낮은 고기압이 대류권의 하층에 있고, 대류권 전체에는 따뜻하고 그 위의 상층권에서 한랭하게 되어 있는 키 큰 고기압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