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한옥의 처마에 담긴 과학

작성일 2011-02-24

아름다운 선을 자랑하는 우리의 전통 가옥인 한옥에는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한옥은 주로 나무와 흙으로 짓는 집이기 때문에, 비가 벽에 바로 들이치면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한옥의 깊은 처마는 벽이 물에 젖는 것을 막아 주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또한, 처마는 햇빛의 양을 조절하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처마 깊이는 계절에 따라 집 안으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조절하여 주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계절에 따라 태양의 고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은 여름에는 햇빛이 처마에 가려져 방까지 들어오지 못합니다. 반면에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는 겨울에는 점심에도 햇빛이 집 안 깊숙하게 들어와 방을 따뜻하게 해 줍니다.
처마의 길이는 지역마다 다릅니다. 태양의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덥기 때문에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처마의 길이가 더 길고, 태양의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춥기 때문에 햇빛이 잘 들어오게 하기 위해서 처마가 짧습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