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무엇을 더 해 볼까?

작성일 2010-06-01

지진! 이렇게 대비하자!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진의 진동 자체가 생명의 위협을 가져오는 경우는 드물다. 지진의 피해가 커지는 이유는 진동으로 건물이 무너지거나, 화재, 산사태, 지진해일 등이 일어나는 2차적인 현상 때문이다.

따라서 건물을 지을 때부터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지진에 안전하게 내진 설계를 한다면 지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지진이 발생하면 벽에 걸어 둔 액자나 시계, 선반 위에 올려 둔 물건 등은 머리 위로 떨어져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평소에 늘 관심을 가지고 확인하는 것이 좋다.

그 밖에 지진을 미리 대비하는 데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지진 통보 시스템이다. 지진은 발생 전에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지진 발생 이후 신속한 통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지진 통보 시스템은 지진이 발생한 지 5분 이내에 통보 담당자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신속하게 지진 정보를 전달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실제로 2008년 5월 중국 쓰촨 성에서 규모 8.0의 지진으로 44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한 반면, 같은 해 6월 일본에서는 규모 7.2의 지진으로 2백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처럼 피해 규모가 크게 차이 나는 것은 지진 자체의 규모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큰 원인은 일본의 내진 설계와 지진 통보 시스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0.06.01
이전
탐구활동 2010.06.01

댓글 남기기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