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한반도의 공룡 - 중생대 백악기

작성일 2012-11-15

 

 

 

 

 

1993년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쥬라기 공원]이 개봉된 후, 전 세계는 공룡에 열광하게 되었고 특히 어린이들은 유행처럼 수 많은 공룡들의 이름을 외워 어른들을 놀라게 하곤 한다. 아직도 그들의 생리, 생태, 멸종의 원인 등은 계속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화석 기록을 볼 때 중생대라는 지질시대 동안 이 지구에 공룡이라는 집단이 번성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늦게 공룡 연구에 뛰어들었지만 최근의 우리나라의 백악기 지층에 대한 화석 연구 결과들은 당시의 한반도가 공룡의 낙원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땅의 공룡 화석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파충류의 시대 중생대

먼저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 중생대(약2억 5000만년 전~6500만년 전)는 트라이아스기, 쥬라기, 백악기로 나뉜다. 트라이아스기(약 2억 5000만년 전~2억년 전)에는 모든 대륙이 모여서 적도 근처에 판게아라는 거대한 하나의 대륙을 이루고 있었다. 극지방에도 빙하가 없을 정도로 전 지구는 따뜻했고 시간이 지날수록 육지는 점점 건조해졌다. 식물로는 고사리류, 은행, 소철 등이 번성했다. 최초로 공룡이 나타났는데 이들은 육식 공룡이었으며 이어서 몸집이 큰 초식공룡도 등장했다. 공룡과 함께 곤충, 악어, 거북, 도마뱀, 물고기, 개구리, 익룡, 어룡, 수장룡 등이 살고 있었다. 쥬라기(약 2억년 전~1억 4500백만 년 전)에 판게아는 점차 갈라져 지금의 북미대륙에 해당하는 로렌시아와 나머지 곤드와나 대륙으로 분리되기 시작했다. 대륙의 이동에 따라 기후가 온난 습윤하게 되어 육지는 열대우림으로 덮이게 되었다.

 

유명한 목 긴 초식 공룡인 아파토사우루스와 브라키오사우루스, 몸집이 큰 육식 공룡인 알로사우루스, 등에 판을 가진 스테고사우루스 등이 등장했다. 하늘은 익룡이 장악하였고, 작고 날렵한 이족 보행 육식 공룡으로부터 새가 진화하였다. 백악기(약 1억 4500만년 전~6500만년 전)에 이르러 대륙이 오늘날과 비슷한 분포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온난했지만 여름과 겨울의 차이가 뚜렷한 기후로 바뀌기 시작했다. 꽃이 피는 식물이 최초로 등장하여 빠르게 퍼져나갔다. 대륙의 분리로 인해 각 대륙에서 공룡들이 독자적으로 진화했기 때문에, 전지구적으로 볼 때 공룡들은 백악기 당시에 가장 다양해졌다.

 

 

우리나라 중생대 지층과 공룡 화석 발견 역사

한반도의 남한 지역에는 크고 작은 중생대 퇴적 분지들이 산재하는데 대부분 백악기 지층이며, 주로 호수나 호수로 흘러들던 하천에서 쌓인 육상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경기도 화성시 시화호 일대와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 널리 분포하는 백악기 지층에서 다양한 공룡, 익룡, 새, 어류, 곤충, 연체동물 화석들이 발견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2년 경남 하동에서 최초로 공룡 알 화석이 발견된 후, 1973년 경북 의성에서 초식 공룡의 앞다리 뼈가 발견되었다. 1982년에는 경남 고성군 덕명리 해안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처음 보고되었다. 1990년대에 이르러 경상도와 전라남도 각지에서 많은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1996년 전남 해남군 우항리에서는 국내 최초로 익룡 발자국과 함께 새와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대량으로 발견되어 한국의 공룡 화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00년대에는 우리나라의 공룡 연구가 매우 활발해져 새로운 공룡 알, 뼈, 발자국 등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화석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주요 공룡 화석산지들

 

공룡알은 경남 하동군, 고성군, 사천시와 부산 다대포, 전남 보성, 구례, 경기 화성군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대규모의 알 둥지가 발견된 대표적인 곳은 전남 보성군 비봉리(천연기념물 418호), 경기 화성시 고정리(천연기념물414호) 등이며 이 중 고정리는 공룡 관련 최대 규모 화석 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들은 백악기 당시 충적 선상지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2~3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초식 공룡 알들이 지층의 여러 부분에 수직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오랜 세월에 걸쳐 꾸준히 공룡들의 집단 산란이 이루어 졌던 지역이라고 생각된다.

 

공룡 뼈도 많이 발견 되지만 대부분은 작은 조각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나 복원이 힘들었다. 그러나 최근에 보존 상태가 좋은 공룡 뼈 화석들이 발견되어 한반도뿐만 아니라 세계의 백악기 공룡 연구에 활력을 주고 있다. 전남 보성군 비봉리(천연기념물 418호)에서는 국내 최초로 공룡의 뼈가 연결된 채로 발견되었고, 이는 새로운 종류의 조각류(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 Koreanosaurus boseongensis)로 밝혀졌다. 주변의 풍부한 공룡 알 둥지와 이 공룡이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가 밝혀지면 한반도 공룡의 생태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질 것이다. 1998년 경남 하동군 갈사리에서 발견된 척추 및 늑골 등 공룡의 주요 부위 뼈를 연구한 결과 이 공룡은 긴 목을 가진 새로운 초식공룡임을 알 수 있으며 이 공룡은 부경대학교에 골격이 복원되어 있다. 최근 경기 화성시 전곡항 제방에서 거의 완벽한 상태의 공룡 척추, 늑골, 다리뼈 등이 연결된 채 발견되었는데 이는 머리에 세 개의 뿔이 달린 트리케라톱스의 먼 조상뻘로  밝혀져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Koreaceratops hwaseongensis)로 명명되었다. 이 화석은 몽골에서 발견된 초기 신케라톱스류(Neoceratopsian)인 우다노케라톱스(Udanoceratops)보다 약 2천만년 앞서고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신케라톱스류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우리 나라의 공룡 화석 중에서 특히 발자국 화석의 가치는 세계적이다. 경남 고성, 남해, 진주, 마산, 경북 의성, 전남 해남, 여수, 화순 일대에서 다양한 공룡 발자국 화석이 대량으로 발견된다. 이 중 많은 지역이 새로운 공룡 발자국을 포함하고 보존 상태가 좋으며, 희귀한 익룡이나 새 발자국 등과 함께 산출되는 등 과학적인 가치가 매우 크다. 그 중에서도 특이한 초식공룡 발자국과 함께 세계 최장의 익룡 보행렬이 산출된 해남군 우항리(천연기념물 394호), 공룡 발자국 화석과 더불어 피부 화석 및 국내 최대 규모의 새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진주시 가진리(천연기념물 395호), 250여 개의 공룡 보행렬이 발견되는 경남 고성군 덕명리 해안(천연기념물 411호), 세계 최소의 소형 육식 공룡 발자국(길이 1.27cm)과 발가락이 두 개인 신종 육식 공룡의 발자국이 발견된 경남 남해 가인리(천연기념물 499호), 국내 최대 조각류(초식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을 뿐 아니라 아시아 공룡 산지 중 가장 젊은 연령(백악기 말 약 7000만 년 전)을 가진 여수시 낭도리(천연기념물 434호), 대부분의 공룡 산지와 달리 내륙에 있는 발자국 산지이면서 국내 공룡과 관련하여 최초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경북 의성군 제오리(천연기념물 373호) 등이 대표적인 화석 산지이다. 이들 지역은 과거에 강물이 흘러들던 거대한 호수 가장자리에 분포하고 있었다. 다양한 동물의 발자국들은 이 지역으로 많은 생물들이 물을 찾아 오고 갔으며 그들을 노리던 육식 공룡들도 출몰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악기 공원, 한반도

 

한반도의 백악기 지층에는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공룡알, 뼈, 발자국 등의 화석이 많이 남아있다. 특히 거의 공룡이 멸종하기 직전, 백악기 최후기의 공룡 화석 및 다양한 새와 익룡의 흔적까지도 풍부하다는 사실은 백악기 당시의 한반도가 동물의 낙원이었음을 지시한다. 한반도의 공룡 화석들이 국제적인 학술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아직도 발굴되기를 기다리는 화석들이 한반도 도처에 숨어 있다. 국민적 관심과 고생물학 저변이 확대되어 공룡화석뿐 아니라 연관되는 기타(익룡, 거북, 악어, 새 등) 화석에 대한 연구가 더 활성화 된다면 백악기의 한반도 공룡과 중생대 파충류의 진화에 대한 이해가 한층 높아질 것이다.

 

 

 

이승배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기획총괄과 연구사

자료제공 국립과천과학관

댓글 남기기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