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잡설[hybridization theory, 交雜設]

[요약] 서로 다른 생물의 교잡에 의해 새로운 종이 생겨나고 진화가 일어난다는 주장으로 1916년 로티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교잡이란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두 개체가 만나 생식하는 것을 말한다. 교배는 부모가 되는 두 개체의 유전자형을 따지지 않지만 교잡에서는 다르다. 서로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두 개체가 만나기 때문에 새로운 종이 생겨나게 된다.
이렇게 교잡을 통해 새로운 종이 탄생하며 진화하는 것을 교잡이라고 한다. 서로 다른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전자적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진화에 유리하다.
- 다음
- 교접완[hectocotylus, 交接腕] 2015.11.25
- 이전
- 교잡[crossing; hybridization, 交雜] 2015.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