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 분류법(M-K classification)

M-K 분류법은 1943년 여키스 연구소의 윌리엄 윌슨 모건, 필립 C. 키넌, 에디스 켈먼이 창안한 항성분류법이다. 여키스 분광 분류법이라고도 한다. 이 분류법은 표면중력에 따라 달라지는 분광선을 기준삼아 항성을 6개의 광도계급으로 나누었다. M-K 분류법에 따르면 Ⅰ은 초거성, Ⅱ는 밝은 거성, Ⅲ은 거성, Ⅳ는 준거성, Ⅴ는 주계열성 또는 왜성, Ⅵ은 준왜성으로 분류된다. 광도계급을 세분하여 Ia-0는 극대거성 또는 극도로 밝은 초거성이며, Ia는 밝은 초거성, Iab 는 중간 정도 밝은 초거성, Ib는 덜 밝은 초거성으로 나누기도 한다. 명확한 계급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 -, +, / ’ 등의 특수 관련기호를 붙여 나타낸다.


- 다음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2015.09.09
- 이전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