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결핵(condensation nucleus)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입자를 핵으로 하여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이 될 때, 핵의 역할을 하는 에러로졸입자. 응결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공기가 수증기의 과포화상태로 되어야 하는데, 과포화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입자가 응결핵이 될 수 있다. 실제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과포화도는 극히 낮아 고작 1%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자연의 안개입자나 구름입자가 생길 때 응결핵의 역할을 하는 입자는 입자 반지름이 약 0.1㎛ 이상이며 흡습성인 것에 한정된다. 이들 입자를 응결핵 중에서도 특히 구름핵이라 한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인간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오염입자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최근 환경오염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2015.09.09
- 이전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09.09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