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성암(basic rock)

마그마가 식어서 형성된 화성암은 암석의 성분에 따라서 염기성암과 산성암으로 구분된다. 산성암은 실리카(이산화규소)의 양이 많은 암석으로 밝은 색을 띤다. 염기성암은 규소에 비해 산소의 함량이 낮은 암석으로, 45~52%의 이산화규소를 포함하고 밝은 색을 띤다. 염기성암은 감람석, 휘석, 감섬석 등의 고철질 광물을 함유하고 장석이나 성경 같은 규장질광물이 희박한 암석이다. 반려암, 현무암, 휘록암이 대표적이다. 산성암과 염기성암이라는 명칭은 상대적으로 오래된 문건에서 발견되며 최근에는 규장질암(산성암), 고철질암(염기성암)로 부르는 경우가 더 많고, 이 암석들은 화학적으로 말하는 산, 염기와는 관계가 없다.
<현무암>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2015.09.09
- 이전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