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기류(ascending air current)

위쪽으로 향하는 공기의 운동을 말한다. 대기는 안정된 밀도의 성층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바람은 주로 수평으로 부는데, 특수한 경우에는 상승기류가 발생한다.① 산의 경사면에 따라 바람이 불 때, ② 두 기단의 경계면에서 찬 공기 위에 따뜻한 공기가 얹힐 때, ③ 따뜻해진 공기 덩어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할 때, ④ 성질이 비슷한 3개의 기단이 합류하여 일부공기가 상공으로 밀려 나갈 때, ⑤ 바람이 바다에서 육지를 향해 불 때, ⑥ 태풍이나 선풍과 같은 강한 회오리바람의 중심부에 공기가 모일 때 등이다. 기압은 상공일수록 낮아지므로 공기가 팽창해서 온도가 내려가는데 100m 상승 때마다 1℃씩 내려간다. 공기 중에는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어 이슬점온도에 도달하면 구름이 생기고, 더 상승하면 비나 눈을 내린다. 상승 기류가 생기면 일반적으로 날씨가 나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2015.09.09
- 이전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