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도수에 대한 각 변량의 도수의 비를 뜻한다. (그 도수의 변량)/(총도수)라는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대빈도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각 계급의 도수를 총 도수로 나누어 얻은 값을 상대도수라고 한다. 그리고 이 상대도수를 나타낸 값을 상대도수분포표라고 부른다. 이것은 자료의 수가 다른 두 집단의 분포상태를 비교할 때 주로 이용하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총 도수를 1로 하였을 때 이 도수가 차지하는 정도를 나타낸 값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