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폼팩터

작성일 2022-02-23
[요약] 제품의 외형이나 규격 등을 뜻하며 주로 기기의 외부 모습을 의미하는 용어 폼팩터(form factor)는 일반적으로 크기, 슬롯 형태 등 컴퓨터 하드웨어의 규격을 지칭할 때 많이 사용되었으나,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외형적인 요소를 가리키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다양한 외형의 스마트폰 기기가 출시되면서 폼팩터 경쟁도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얇은 두께나 접을 수 있는 기기 등 다양한 폼팩터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종이처럼 구길 수 있는 전자화면 등의 기술이 적용되면 더욱 다채로운 폼팩터 시장이 열릴 것이다. 폼팩터 혁신은 아래의 3단계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1단계는 커브드·벤더블 (Curved · Bendable)등의 고정형 2단계는 폴더블 · 롤러블 (Foldable · Rollable)등의 단일 축 가변형 3단계는 스트레처블 (Stretchable) 등의 프리 폼 (Free-form) 형식이다. 이러한 폼팩터 혁신이 가능해진 이유는 자유자재로 LCD에서 OLED로 발전하고 있는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덕분이다. 앞으로는 고정된 폼팩터 한계에서도 벗어나 자유롭게 모양을 바꿀 수 있는 폼팩터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제조사에서 디스플레이를 안팎으로 접는 것을 넘어 두 번, 세 번씩 접거나 둘둘 말아 크기를 줄이는 롤러블 폼팩터 개발도 진행되고 있고, 차세대 모바일 시장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폼팩터 경쟁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
표준 오차 2022.02.23
이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22.02.23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