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도

[요약] 단위 면적당 받을 수 있는 빛의 양
조도는 단위 면적이 단위 시간에 받는 빛의 양으로 광원의 광도에 비례하고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2배가 되면, 1/4. 3배가 되면, 1/9, 4배가 되면, 1/16이 된다. 좁은 면적에 많은 양의 광속이 입사되면 피조면(조명을 받는 면)의 조도가 높아지며 밝아진다고 한다. 단위는 룩스(lux, 기호는 lx)이다. 1룩스는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빛에 수직인 면의 밝기를 말한다.
사람이 느끼는 밝기와 조도는 서로 차이가 있다. 조도는 물리적인 절대값이기 때문에 정확하지만 사람의 눈은 상대적인 것으로 밝기를 인식하기에 눈으로 본 밝기와는 차이가 있다.
빛과 관련된 다른 용어들도 살펴보면 광도는 광원으로부터 한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속을 말하며 단위는 칸델라(cd)이다. 일반적으로 광원에서 모든 방향으로 빛이 균일하게 방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방향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진다. 휘도는 눈부심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대상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말하며 단위는 cd/m2, nt(니트)이다.
조도는 단위면적당 얼마만큼의 빛이 도달하는지를 표시하는 것이고, 휘도는 그 결과 빛이 어느 방향에서 얼마만큼 밝게 보이는지를 말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