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전정기관

작성일 2022-02-22
[요약] 귀의 내이에서 몸의 평형 운동감각이나 위치감각을 감지하여 뇌에 전달하는 기관 전정기관은 머리의 수평, 수직 선형 가속도, 회전 운동을 감지하고 중추 평형기관으로 전달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관으로, 귀의 가장 안쪽 내이에 위치하며 세반고리관과 전정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전정기관은 중력을 감지하여 신체가 수직·수평에 대한 변동을 느껴 올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귀는 청각과 평형적인 감각을 담당하는데, 외부에서부터 외이, 중이, 내이 순서로 구성됩니다. 제일 깊숙이 위치한 내이에는 소리를 듣고 인지하는 달팽이관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 있다. 전정기관은 달팽이관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정기관은 달팽이관의 뒤 위쪽, 반고리관의 앞 아래쪽에 붙어 있고, 둥근주머니(구형낭, saccule)과 타원주머니(난형낭, utricle)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에는 림프액 및 다양한 크기의 돌이 존재한다. 전정과 연결된 세 개의 반고리관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세 평면 공간에 있고, 위치에 따라 앞 반고리관, 뒤 반고리관, 옆 반고리관으로 지칭한다. 반고리관 역시 내부에는 림프액이 가득 차 있으며 연수에서 갈라져 나온 청신경은 달팽이관으로 이어지는 와우신경과 전정기관과 연결된 전정신경으로 이어진다. 림프액 이온의 조성은 달팽이관의 내림프액과는 다르며 I형, II형 유모세포와 지지세포가 분포한다. 여기에 다양한 크기의 이석(귀돌, ear crystal)이라는 작은 돌이 얹어져 있어 중력 및 선형 가속도 운동을 느끼도록 한다. 전정기관의 기능은 몸을 움직일 때 전정 속 림프액과 이석(돌)이 움직이며 상하, 전후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신체를 직선운동을 하거나 기울이면 이석이 중력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젤라틴같은 물질을 해당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이것이 감각 세포의 소모를 건드려 세포를 자극하며 흥분을 발생시킨다. 이 흥분이 세포와 구성된 지각 신경(전정 신경)에 전해져 곧바로 뇌로 보내진다. 림프액도 함께 운동하면서 상하, 전후의 움직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경우에도 움직임에 따라 반고리관 내부의 림프액이 세 평면으로 흘러 뇌가 감지한다. 또한, 감각 세포에는 원심성 신경의 말단이 결합하고 있다. 이 신경에 영향을 받아 감각 세포의 흥분도는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반고리관 내부에 작은 제방 모양의 돌출 부위가 있는데, 여기에 감각 세포가 있고 이것이 젤라틴 상태의 물질(큐프라) 속의 가느다란 관까지 뻗어 있다. 관의 맞은편 벽에 이르는 큐프라는 안쪽 림프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정지하였다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나 속도가 변화가 있을때에는 안쪽 림프가 그 반동으로 흐르며 소모를 움직여 감각 세포를 자극한다. 반고리관의 감각 세포 또한 원심성 신경이 작용한다.
다음
점토광물 2022.02.22
이전
전자화폐 2022.02.22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