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응집제

작성일 2022-02-22
[요약] 액체 내 콜로이드 입자가 모여서 큰 입자로 응집을 일으켜 침전시키는 약물 응집이란 졸(sol) 중의 콜로이드 입자가 모이면서 보다 큰 입자로 뭉쳐 침전되는 현상을 말하고, 응집제란 콜로이드 용액에 분포되어 있는 고체입자(혹은 콜로이드 입자)가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는 약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응집되면서 액체 속의 입자의 침강속도가 빨라지므로 침강을 촉진시키게 된다. 그래서 다른 말로 침강촉진제 혹은 침강제라고 하기도 한다. 특히, 배수처리시설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응집제는 화학 조성상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무기응집제로, 소석회(수산화칼슘), 백반, 염화알루미늄, 산화철(Ⅲ), 황산철(Ⅱ) 등이 있다. 무기응집제는 액체 속에 분포된 입자의 표면전위를 거의 0에 가깝게 만들어, 그때까지 입자 상호 간의 전기적 반발력을 상실시켜 줌으로써 응집을 일으킨다. 대체적으로 첨가하는 응집제로서의 무기이온은 Hardy의 법칙에 따라 원자가 클수록 응집력이 세다. 칼슘염과 알루미늄염은 탁하거나 오염된 흙탕물의 처리에 사용된다. 두 번째는 유기 고분자화합물로, 녹말류나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그것들의 유도체 등이 이에 속한다. 유기 고분자 응집제는 입자 사이에 가교(bridge) 구조를 만들어 입단을 형성하는 접착의 효과가 있다. 응집제 효과도 있는데, 응집제의 수화도 같은 다양하게 알려진 인자 외에 무기질 응집제에서는 pH의 영향이, 유기 고분자 응집제에서는 교반의 영향이 크다. 응집보조제는 응집제가 응집하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량으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것은 산, 알칼리, 활성규사, 점토(clay)등이 있고, 이 중 bentonite라 불리는 clay는 물에 적당한 탁함을 유지하고 그 응집이 잘 일어나도록 해준다.
다음
이력현상 2022.02.22
이전
유전자치료 2022.02.22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