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암(conglomerate)

자갈을 주요 구성물로 하며 입자가 거친 조립쇄설암으로 퇴적암의 일종이다. 입자지름이 2㎜ 이상인 것을 쇄설물을 자갈이라 하며, 자갈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세력암(2~4㎜), 중력암(4~64㎜), 대력암(64~256㎜), 거력암(256㎜ 이상)으로 나누어진다. 자갈 사이의 틈새는 모래 또는 진흙으로 메워져 있다. 자갈의 모양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둥근 자갈이 주가 되는 원력암, 모난 자갈로 이루어진 각력암이 있다. 역암이 형성되는 원인은 빙하에 의한 침식, 단층에 의한 파쇄, 화산분화 등이 있으나 보통은 육지산지의 흉기, 침식에 의해서 형성되며 특징적인 퇴적암을 이룬다. 역암의 구성에 따라서는 자갈을 공급한 후배지의 지질을 추정할 수 있는 다원역담과 1종류의 자갈암만으로 구성된 단원역암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지층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해침 때에 지층 기저에서 생기는 기저역암, 해퇴 때에 지층 최상위에 생기는 정상역암, 지층에 끼어 있는 층내역암으로 나누어진다. 이것들은 퇴적 때의 환경조건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되는데, 심성암이나 변성암이 지표로 드러나게 된 시기도 이 역암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2015.09.09
- 이전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