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반응식(reaction formula)

화학 반응을 화학식을 사용하여 나타낸 식. 반응식이라고도 한다.
보통
와 같이 표시한다.
화학반응식에서는 반응물질을 좌변에, 생성물질을 우변에 쓴다.
또한 등호(=) 외에 ,
등을 써서 반응의 진행방향이라든가 가역반응(可逆反應) 등을 표시한다.
등호로 나타냈을 때를 특히 화학방정식이라고 한다.
이들 식은 화학 변화의 전후에 있어서의 물질이 무엇인지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질량보존(質量保存)의 법칙, 기체반응의 법칙 등 그들 물질의 양적 관계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2H+O
=2H
O에서는 수소 2mol(4g)과 산소 1mol(32g)이 반응하여 물 2mol(36g)이 생기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처음으로 화학반응식을 쓴 사람은 라부아지에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파스칼의 삼각형(Pascal's triangle) 2015.09.09
- 이전
- 간동유적(Ngandong remains)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