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화학식 CaCO· 탄산의 칼슘염. 천연으로 방해석(方解石) · 대리석 · 석회석 · 아라고나이트 · 백악 등 광물로 산출된다.
식량 100.1, 녹는점 1,339℃(102.5atm), 비중은 방해석형이 2.711(측정온도 25℃), 아라고나이트형이 2.93이다.
방해석형은 육방정계(六方晶系), 아라고나이트형은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한다.
공업적으로는 석회암을 건식분쇄(乾式粉碎)해 체로 치거나, 풍파(風- ; 공기 중에서의 자연침강 속도의 차를 이용하는 분체〈粉體〉 분별조작)에 의해 미세한 분말을 모은다(중질탄산칼슘).
석회죽에 이산화탄소를 불어넣어 생긴 침전을 건조 · 분쇄해 만들기도 한다(침강탄산칼슘 또는 연질탄산칼슘).
패류(貝類)를 습식분쇄(濕式粉碎)한 것도 이용된다(호분〈胡粉〉).
일반적으로 백색 고체 또는 무색의 결정이며, 2가지의 변태가 있다.
가열하면 다음 반응식에 따라 해리(解離)한다.
이것은 흡열반응이다.
CaCO+CO
+H
O ? Ca(HCO
)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천연수(天然水)가 석회암을 용해해 생긴 공동(空洞)이 종유동굴이다.
그 속에서 온도의 상승이나 부분압력의 저하에 의해 이산화탄소의 용존량(溶存量)이 감소하면 평형이 왼쪽으로 치우쳐 탄산칼슘이 침적해서 생성된 것이 종유석(鍾乳石)이나 석순(石筍)이다.
석회암은 포틀랜드 시멘트, 산화칼슘 등의 원료, 대리석은 건축재료로 쓰인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토카마크(tokamak) 2010.08.24
- 이전
- 토질역학(soil mechanics) 201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