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타닌(tannin)

작성일 2010-08-24

동물의 생가죽을 가죽으로 무두질하는 성질을 가진 수렴성(收斂性) 식물성분에 대한 관용적 명칭. 단녕(單寧) · 유질(-質)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식물의 수피(樹皮) · 재(材) · 잎 · 과실 · 뿌리 등에 다소 함유되어 있는데, 식물체의 한 국부(局部)에 집적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특히 떡갈나무나 붉나무 등의 식물에 생기는 몰식자(沒食子)와 오배자(五倍子)에서는 그 함유량이 80%에 이르기도 한다.

타닌의 식물체 내에서의 생리적 기능은 명확하지 않으나 항균작용을 나타내므로 병충해에 대한 방어작용도 생각할 수 있다.

단백질이나 알칼로이드, 많은 중금속염(重金屬鹽)과 불용성(不溶性)의 침전을 만드는 성질이 있다.

화학적으로는 많은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가지며, 상당히 고분자(高分子)인 방향족 화합물이다.

종류가 많고, 구조가 제대로 밝혀져 있지 않은 것도 많은데, 묽은 산과 함께 가열하면 가수분해되어 갈산(몰식자산)이나 에라그산 등을 생성하는 가수분해성 타닌과, 중합(重合)하면 불용성의 갈색 프로바펜을 생성하는 축합성(縮合性) 타닌으로 나누는 분류법이 대표적이다.

타닌은 피혁제조용, 매염제(媒染劑), 잉크의 제조, 방부제, 장(腸)의 수렴제, 지사제(止瀉劑), 정장제(整腸劑) 등 용도가 넓다.

무두질 작용은 생피 속의 주요한 단백질인 젤라틴과 침전을 이루어, 불용성이고 부패성이 없는 물질로 바꾸는 데 연유한다.

또한 블루블랙 잉크의 제조는 철(Ⅲ)이온과 반응해 청색의 착화합물을 이루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타르(tar) 2010.08.24
이전
티탄(titanium ; Titan) 2010.08.24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