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킹(cracking )

넓은 의미에서 물질의 분해를 뜻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석유정제(石油精製) 및 석유화학공업에서 탄화수소의 탄소-탄소결합의 절단(切斷)이 따르는 반응. 이 경우는 원료유를 보다 끓는점이 낮은 탄화수소로 전화(轉化)시키는 것이며, 분해뿐만 아니라 탈수소(脫水素) · 중합(重合) · 이성질체화(異性質體化) 등을 포함한 복잡한 반응이다.
석유의 크래킹 과정에는 크게 나누어 열분해법(熱分解法) · 접촉분해법 및 수소화분해법이 있다.
〔열분해법〕고온가압해(高溫加壓下)에서의 분해법이다.
중질잔유(重質殘油)를 액상중(液相中) 온화한 조건하에서 열분해해 적당한 점성도(粘性度)와 유동점(流動點)을 가진 중유(重油)를 제조하는 방법(비스브레이킹법) 및 가혹한 조건하에서 열분해해 경유유분(輕油溜分)과 코크스를 제조하는 방법(코킹법)이 채택되고 있다.
또한 부탄과 나프타를 열분해해 석유화학의 원료인 각종 올레핀류 및 방향족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접촉분해법〕 산성을 지닌 고체촉매(固體觸媒)를 사용하는 분해법이다.
카르보늄이온 반응이므로 열분해법보다 생성 가솔린의 옥탄값이 높다. 주로 감압경유(減壓輕油)를 원료로 하는데, 고(高)옥탄값 가솔린의 제조에 쓰인다.
〔수소화분해법〕 나프타에서 잔유(殘油)에 이르는 석유계 원료를 수소의 존재하에 고온고압(高溫高壓)에서 반응시켜, 액화석유가스(LPG) · 고옥탄값 가솔린 · 등유 · 경유 · 제트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하이드로크래킹이라고도 한다. 분해와 수소화의 2가지 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생성물 중에는 이소파라핀과 시클로파라핀이 많이 함유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크랭크축(crankshaft ) 2010.08.24
- 이전
- 크라이오펌프(cryopump ) 201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