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자(spore)

생물이 무성생식(無性生殖)의 수단으로 형성하는 세포. 보통 단독으로 발아(發芽)하여 새 개체가 된다.
포자를 형성하는 개체를, 식물류에서는 포자체(胞子體) 또는 조포체(造胞體)라고 한다.
포자낭(胞子囊)이나 균사(菌絲) 속에 형성되는 것은 내생(內生)포자, 체외에 분리되어 생기는 것은 외생(外生)포자라고 하며, 후벽(厚壁)을 만들고 휴면(休眠)하는 것은 휴면포자라고 한다.
포자가 형성될 때 감수분열(減數分裂)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진정(眞正)포자와 영양(營養)포자로 나눈다.
〔영양포자〕감수분열을 거치지 않고 몸의 일부가 분열하여 형성되는 포자를 말한다.
핵상(核相)은 단상(單相) 또는 복상(複相)이며, 균류(菌類)는 드물게 중상(重相)이다.
식물류에서는 조류(藻類)에서 볼 수 있다.
① 분열자(분열포자·분절포자) : 성장한 균사체의 균사가 토막나서 그것이 각각 고리 모양이 되어 한 줄의 연쇄상(連鎖狀)으로 형성된다.
진핵균류의 일부와 방사균류에서 볼 수 있다.
② 후벽포자(후막포자) : 균사의 내용이 군데군데 치밀해지고 동그래져서, 유리(遊離)세포로 균사 내에 포자가 형성된다.
세균류인 간균(桿菌)의 세포 내에 생기는 1개의 휴면포자도 후벽포자이다.
③ 분생자(分生子 ; 분생포자) : 균류의 균사체의 가지가 분화한 분생자병(柄)의 앞끝 부위에서 체세포핵분열이 일어나 그 딸핵을 포함하는 외생포자가 1개 또는 1렬의 연쇄상으로 형성된다.
자낭균류(子囊菌類)의 경우는 각종 균사조직의 표면이나 플라스크형 균사조직의 내면에 분생자병을 밀생하는 것도 있다.
④ 포자낭포자 : 포자낭 모세포 내에 체세포핵분열이 되풀이되어 다핵으로 되고, 세포질체가 분열하여 형성되는 내생포자이다.
접합균류나 원생자낭균류에는 부동(不動)포자가 생기고, 난균류(卵菌類)나 녹조류(綠藻類)의 일부에는 편모(鞭毛)를 가진 유주자(遊走子)가 생긴다.
이 포자낭을 유주자낭이라고도 한다.
〔진정포자〕복상핵의 감수분열을 거쳐 형성되는 단상의 포자이다.
이 복상핵을 지닌 세포는 접합자 또는 거기에서 생긴 복상의 포자체이거나, 접합체에 상당하는 자낭모세포 또는 담자기(擔子器) 모세포이다.
① 자낭포자와 담자포자 : 자낭균류는 자낭 내에 보통 8자낭포자를 내생한다.
담자균류는 담자기 위에 보통 4담자포자를 외생한다.
② 진정포자낭포자 : 난균류의 휴면성 접합자(난포자)가 발아하면 유주자낭이 생겨 진정유주자를 만든다.
식물류의 포자는 대부분 진정포자이다.
홍색식물인 우뭇가사리는 포자체 위에 부동의 4분포자를 형성하고, 갈색식물인 다시마는 유주자를 만든다.
녹색식물인 이끼류·양치류도 부동의 진정포자를 만들지만(동형포자), 석송류나 수생양치류인 생이가래는 이형포자(대포자와 소포자)를 만든다.
〔포자의 살포와 발아〕포자는 물·기류·동물 등에 의해 모체에서 분리되거나 모체가 붕괴하여 유리되는 외에, 포자낭에서 천천히 방출되거나 세게 퉁겨져 나가기도 한다.
살포된 포자가 적당한 환경조건에서 발아하면 새 개체가 생긴다.
유주자인 경우에는 정지하여 세포벽을 만든 후 발아한다.
새 개체는 원래의 포자의 핵상에 따라 복상이거나 단상 또는 중상이다.
포자가 발아하면 다른 형의 포자를 낳고 이것이 새 개체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피에르 퀴리(Pierre Curie ) 2010.08.24
- 이전
- 퀴륨(curium ) 201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