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쿨롱의 법칙(Coulomb’s law)

작성일 2010-08-24

정전기력(靜電氣力)의 기초법칙 : 부호가 같은 두 전하는 서로 반발력을 미치고, 반대부호의 전하는 서로 인력을 미친다.
전하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이 힘의 크기 F는 두 전하 사이의 거리 r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각 전기량 q1및 q2 에 비례한다.
k를 비례상수로 하여 아래의 식으로 표시된다.

이것을 쿨롱의 법칙이라 하고, 정전기력을 쿨롱의 힘이라고도 한다.
1785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C. A. 쿨롱이 정량적 실험에 의해 발견했다.
전기량, 거리, 힘의 단위로 각각 C, m, N을 사용할 때 비례상수 k의 값은 k ≒ 9×109 이다.
소립자론에서 F가 r2 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광자(光子)가 질량을 갖지 않는 것으로부터 설명된다.
쿨롱의 법칙은 전자기학(電磁氣學)의 기본법칙의 하나로, 거시적인 세계에서 미시적인 세계까지 넓은 영역에 걸쳐 성립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트로폴론(tropolone) 2010.08.24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