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커켄들효과(Kirkendall effect)

작성일 2010-08-24

이종성분(異種成分) 합금의 매끄러운 접합면을 고온으로 가열해 원자를 확산시켰음 때 얻어나는 접합경계면의 이동현상. 이 현상은 확산시료의 접합 경계면에 비활성(非活性)의 마커를 삽입했을 때 확산의 진행을 따라 마커가 이동하는 것을 보고 1947년 커켄들이 발견했다.

이것은 확산시료의 이종원자가 각각 다른 확산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커켄들효과는 공격자점(空格子點)이나 격자간 원자를 중개로 해 원자확산이 일어나는 경우에만 나타나고, 원자의 직접 교환에 의한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2원계(二元系) 합금의 경우 마커의 이동속도, 마커 위치에서의 농도 및 상호 확산계수가 실측(實測)되면 마커 위치에서의 농도에 대한 각 성분원자의 고유확산계수(intrinsic diffusion coefficient)를 계산 할 수 있다.

원자력의 질화물연료(窒化物燃料) 제조 때 따로따로 합성 한 PuN과 UN분말을 혼합소결(混合燒結)하면 커켄들 효과로 말미암아 밀도저하가 일어난다고 보고되어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