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치식

작성일 2010-08-24

포유류의 치아의 구성을 나타내는 식 일반적으로 포유류는 이치성(異齒性)이며, 4종류의 치아를 갖는데, 종에 따라 그 치수(齒數)가 달라 치식을 사용해 나타낸다.

치식은 가로줄을 긋고 아래·위에 각각 아래턱과 위턱의 한쪽편 앞니〔切齒〕, 송곳니〔大齒〕, 앞어금니〔小臼齒〕, 뒤어금니〔大臼齒〕의 개수를 왼쪽부터 차례로 표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앞어금니와 뒤어금니를 합해 협치(頰齒)라고도 한다.

고등포유류 조상의 치수는 상하 각각 턱 한쪽편으로 앞니 3개, 송곳니 1개, 앞어금니 4개, 뒤어금니 3개가 있어 모두 44개였다.

따라서 포유류의 기본식은 이 된다.

그러나 현생포유류 중에서 이 치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종은 적다.

사람의 치아는 32개로 되어 있고, 앞니 2개, 송곳니 1개, 앞어금니 2개, 뒤어금니 3개이며, 치식은 이다.

이 밖에 다음과 같은 표기법도 가능하다.

포유류의 기본형을 제시하면 이 된다(i,c,p,m은 앞니<incisor>·송곳니<canine>·소구치<premolar>·대구치<molar>의 머리글자). 현생하는 초식동물의 유제류(有蹄類)를 보면, 송곳니가 없는 암말에서는 으로 모두 36개이고, 위턱의 앞니와 송곳니가 소실된 소에서는 으로 모두 32개이다.

현생하는 육식동물인 개에서는 으로 42개이며, 고양이는 로 28개이다.

그 밖에 쥐는 으로 16개이고, 원숭이는 으로 36개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치역(range) 2010.08.24
이전
천구좌표 2010.08.24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관련 콘텐츠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