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배양(tissue culture)

생물조직의 작은 조각을 떼어 유리그릇 안에 넣고 적당한 영양을 주어 생존·증식시키는 일. 기관배양(器官培養)과 함께 생체 구성요소를 생성(生成)으로부터 떼어내어 배양·관찰하기 위한 주요한 기술이며, 세포배양은 조직배양의 특수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조직배양은 R. G. 해리슨의 개구리 신경의 배양에서 비롯되어 그후 A. 차렐 등에 의해 개량되었다.
배양액으로는 생리적 염류용액에 혈청을 첨가한 것이 많이 쓰이는데, 완전 합성배지(培地)도 쓰인다.
조직배양은 암화(癌化), 조직 간 상호작용, 조직에 대한 화학물질의 영향, 조직의 운동성 등 광범위한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해석수단을 제공한다.
식물의 조직배양은 원형질체(protoplast), 세포, 화분립(花粉粒), 난세포, 세포의 집합체인 조직, 조직이 모여 기능적으로 분화한 기관, 여러 기관의 집합체인 개체 및 유배(幼胚) 등을 각각 특정의 목적에 따라 무균상태에서 인위적 배지를 써서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배양에 쓰는 치상(置床) 재료를 외식체(外植體 ; expIant)라 한다.
동일개체에서는 그 개체가 유전적으로 동형인 경우에는 모든 세포가, 이형(異型)인 경우에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모든 세포가 가진 유전적 정보는, 그 세포들이 유래하는 조직이나 기관의 종류에 관계없이 잠재적으로는 같다고 생각된다.
이것들을 치상재료로 하는 조직배양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① 형태형성, 대사생리 및 기타 기초생불과학의 연구 ②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세포잡종의 육성, 마이크로인젝션(현미(顯微)주사), 여러 플라스미드 이용에 의한 재조합 DNA 등 세포와 염색체공학, 유전공학 등 첨단기술을 응용하는 장(場)으로 이용 ③ 배지 첨가물질·배양세포조사(照射) 등에 의한 배지세포의 유전적 변이의 확대(고광합성 기능, 저장 단백질의 개변 과 증대, 성장촉진, 특정 유용물질 생산, 스트레스 저항성, 병해충 저항성 등)에 따른 육종소재(育種素材)의 제공 ④ 세포배양에 의한 물질의 직접생산 ⑤ 경정(莖頂 ; 생장점)배양에 의한 바이러스 프리(바이러스 무병) 개체의 육성 ⑥ 동일유전자계를 가진 영양계(클론)의 급속증식 ⑦ 화분립 유래 반수성(半數性)식물의 육성과 그 염색체 배가(倍加)에 의한 유전적 호모 개체의 단기간 육성 ⑧ 배양경정·배양개체 등에 의한 영양번식작물 유전자원의 장기 보존에의 적용 등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조직액 2010.08.23
- 이전
- 조직(tissue) 201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