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도(electrical conduction)

물체의 양끝에 전지를 접속해 전압을 걸때 물체내에 생기는 전기장(電氣場)의 영향으로 전하(電荷)를 가진 입자의 이동이 일어나 전류가 흐르는 현상. 단위단면적당의 전류를 전류밀도라 하는데, 전류밀도와 전기장의 관계는 전류밀도를 J, 전기장을 E라 하면 J=σE로 표시된다.
구리 · 알루미늄 · 철 등의 금속을 비롯한 많은 물질에서는 J와 E의 방향이 같으므로〈표〉에서처럼 σ가 보통의 수인데, 이것을 전기전도도 또는 전기전도율이라 하며, 그 역수(逆數)가 비저항(比抵抗)이다.
원자배열의 대칭성이 낮은 어떤 종류의 결정에서는 J와 E의 방향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때의 σ는 텐서(tensor)로 표시되며 전기전도도 텐서라고 한다.
전류의 근원이 되는 전하를 운반하는 입자가 전자인 경우를 전자전도, 이온인 경우를 이온전도라고 한다.
전기전도도가 제일 큰 물질은 금속이고, 0인 물질이 절연체이며, 그 중간에 반도체라는 물질이 있다.
전기전도도에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밴드이론으로 설명된다.
물질에 따라서 는 저온에서 전기전도도가 무한대, 즉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이 발견되는데, 이를 초전도(超傳導)라 고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전기전도성플라스틱(electro conductive plastic) 2010.08.23
- 이전
- 연체동물(molluses) 201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