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역암(conglomerate)

작성일 2010-08-23

퇴적암의 일종으로 자갈이 중요 구성물질인 거칠거칠한 알갱이 쇄설암(碎屑岩). 입경(粒徑)이 2mm 이상인 쇄설물을 자갈이라고 하며 자갈의 크기에 따라 세력암(細礫岩) ; 2~ 4mm), 중력암(中礫岩 ; 4~64mm), 대력암(大礫岩) ; 64~256mm), 거력암(巨礫岩) : 256mm 이상)으로 나뉜다.

자갈과 자갈의 틈새는 모래나 사니(妙泥)로 메워진 것이 많다.

또 자갈의 모양에 따라 둥글게 깎여 둥그스름해진 자갈이 주류인 것을 원력암(圓礫岩), 깎이지 않아 모가 난 자갈로 이루어진 것을 각력함 (角礫岩)이라고 한다. 역암은 빙하에 의한 침식, 단층에 의한 파쇄, 화산 분화 등에 따라 형성되지만 보통 육지에서 산지의 융기·침식을 따라서도 형성되며 육지와 그 주변 해역을 특정짓는 퇴적암이다.

따라서 역암에는 여러 종류의 암석의 자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자갈을 공급한 후배지(後背地)의 지질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을 다원역암(多元礫岩)이라고 하며 드물게 한 종류의 암석의 자갈로만 이루어진 경우도 있으며, 이것을 단원역암(單元礫岩)이라고 한다.

역암은 각 지질시대의 지층에서 볼 수 있으며 지층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해진(海進)이 있을 때 일련의 지층 기저에서 형성되는 기저(基底)역암, 해퇴(海退)가 있을 때 일련의 지층 최상위에서 생기는 정상(頂上)역암, 일련의 지층 사이에 끼이는 층내(層內)역암 등으로 나누어진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역위(inversion) 2010.08.23
이전
역수(inverse number) 2010.08.23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