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의 곡선의 모든 접선과 직교하는 독선. 신개선(伸開線)이라고도 한다.
인벌류트 곡선의 특징은 [그림]과 같이 본래의 곡선 위의 호(孤)의 길이 AP와 본래의 곡선에 대응하는 인벌류트 콕선 위의 점 사이의 거리 PP’가 같은 것이다.
하나의 곡선은 무한히 많은 인벌류트 곡선을 가지지만 임의의 두 인벌류트 곡선 위에서 대응하는 점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다.
원의 인벌류트 곡선은 톱니바퀴(gear)의 톱니에 응용되며 이러한 기어를 인벌류트 기어라고 한다.
이 기어는 압력각이 항상 일정한 특징이 있다.
맞물림 압력각을 a라고하면 인벌류트 함수 inv a는 inv a=tan a - a로 정의된다.
이 인벌류트 함수는 톱니의 두께나 전위(轉位) 기어 등의 계산에 활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