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인벌류트(involute)

작성일 2010-08-23

임의의 곡선의 모든 접선과 직교하는 독선. 신개선(伸開線)이라고도 한다.

인벌류트 곡선의 특징은 [그림]과 같이 본래의 곡선 위의 호(孤)의 길이 AP와 본래의 곡선에 대응하는 인벌류트 콕선 위의 점 사이의 거리 PP’가 같은 것이다.

하나의 곡선은 무한히 많은 인벌류트 곡선을 가지지만 임의의 두 인벌류트 곡선 위에서 대응하는 점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다.

원의 인벌류트 곡선은 톱니바퀴(gear)의 톱니에 응용되며 이러한 기어를 인벌류트 기어라고 한다.

이 기어는 압력각이 항상 일정한 특징이 있다.

맞물림 압력각을 a라고하면 인벌류트 함수 inv a는 inv a=tan a - a로 정의된다.

이 인벌류트 함수는 톱니의 두께나 전위(轉位) 기어 등의 계산에 활용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엘에스아이(LSI) 2010.08.23
이전
엘시발진기(LC oscillator) 2010.08.23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