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이방성(anisotropy)

작성일 2010-08-20

물체의 물리적 성질이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 등방성(等方性)에 대비(對比)되는 용어로서 비(非)등방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유리는 보통상태에서는 등방성 물질이어서 빛에 대해 복굴절(複屈折)을 나타내지 않으나 한 방향에 변형력을 가하면 이방성을 띠고 복굴절을 나타낸다.

이 때 유리의 이방성은 일시적이지만 결정은 항상 이방성이다.

방해석의 얇은 조각을 통해서 문자를 보면 복굴절 때문에 이중으로 보인다.

광학적(光學的) 성질에만 한정하면 암염이나 다이아몬드 등 등축정계(等軸晶系)에 속하는 결정은 등방성을 나타내는데 이들의 결정도 다른 면에서는 이방성을 나타낸다.

즉, 이런 결정이 다면체적인 외형을 가지거나 특정한 면에 따라 쪼개짐을 나타내는 일도 이방성이다.

일반적으로 결정의 이방성을 종합적으로 관찰하면 이방성에는 대칭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암염과 다이아몬드의 성질은 대칭면과 대칭중심, 또는 특정한 축 주위의 회전대칭(回轉對稱)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대칭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대칭성에 입각해서 분류하면 결정의 이방성에는 32종류가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