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육종(breeding)

작성일 2010-08-20

농작물이나 가축의 유전형질을 개선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 증식시키는 작업. 육종은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입장에서는 품종개량, 가축을 사육하는 입장에서는 가축개량 이라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재배하고 있는 작물 중에는 계통적으로 전혀 다른 2종의 식물이 교잡되어 형성된 것이 적지 않다.

사실상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분류학상 다른 종 또는 속(屬)간의 교잡으로 신종(新種)을 만들 수 있다는 사설이 밝혀져 있으며 또한 이에 관한 기초이론도 점점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육종상 큰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육종법〕육종의 목적, 실제적 방법, 유전적 변이(變異)의 종류, 작물의 수정과 번식양식 및 기타 요건에 의해 다음과 같이 도입육종법(導入育種法)·분리(分離)육종법·교잡(交雜)육종법·잡종강세육종법·배수체육종법·돌연변이육종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도입육종법 : 작물·가축을 다른 지방 또는 다른 나라에서 도입한 품종 그대로 재배하거나 사육하는 것으로 도입한 품종의 특성 또는 그 유전질을 새로운 육종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② 분리육종법 : 같은 형질을 가진 개체라도 자세히 비교해 보면 여러 가지 다른 형질을 가진 개체 또는 개체군(個體群)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집단 속에서 특정형질(特定形質)을 가진 개체 또는 개체군을 뽑아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주로 자가수정작물(自家受精作物)에 적용되는 순계분리법(純系分離法), 타가(他家)수정작물에 적용되는 계통분리법, 영양번식작물에 적용되는 영양계(營養系)분리법 등으로 세분된다.

③ 교잡육종법 : 변이를 만들어내는 한 가지 방법이다.

기대하는 특성 또는 형질에 맞는 변이체가 나타나지 않을 때 각 품종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유전성을 한 품종 속에 종합하여 새로운 형질을 가진 변이를 일으키는 육종법이다.

④ 잡종강세육종법 : 잡종강세를 나타내는 성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을 육성하는 방법이다.

주로 수량 등의 양적 형질을 개량할 때 많이 쓰인다.

⑤ 배수체육종법 : 생물에는 그 종에 특정한 염색체 수의 짝(게놈)이 있는데, 이것을 화학약제로 배가(倍加)시킴으로써 우수한 품종을 얻는 방법이다.

씨 없는 수박은 이것을 응용한 것이다.

⑥ 돌연변이육종법 : 어떤 종류의 화학약제나 방사선 등을 생물체에 처리하면 여러 돌연변이가 생긴다.

이것을 이용하여 그 속에서 유용한 것을 골라내는 방법이다.

⑦ 영양잡종육종법 : 다른 유전자 구성을 가진 영양체를 접아(接芽)· 접목 또는 식물체에 이식함으로써 양 개체의 중간형 또는 새로운 형질을 가진 품종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접목에서 접본(接本)과 접아의 조직이 서로 결합해서 그 중간형 또는 새로운 형질의 식물체를 나타내는 일이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엑사(exa) 2010.08.2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