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폐도(crown density)

임목의 수관(樹冠)과 수관이 서로 접하여 이루고 있는 임관(林冠)의 폐쇄(閉鎖) 정도. 소밀도라고도 한다.
나무가 서 있는 면적을 , 수관의 투사면적을
라 하고 그 합계를
으로 표시하면 울폐도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이와 같은 식으로 계산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울폐도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한다.
① 소(疎) : 수관의 투사면적 비율이 0.4(40%) 이하일 때, ② 중(中) : 수관의 투사면적 비율이 0.4~0.7(40~70%)일 때, ③ 밀(密) : 수관의 투사면적 비율이 0.7(70%) 이상일 때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수관의 투사면적을 계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임분(林分)에 들어가서 위를 쳐다보아 수관이 공간을 덮지 못하는 비율이 20% 정도라고 하면 울폐도는 0.8(80%)로 간주한다.
울폐도는 수종 · 수령 · 임지 및 사업방침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음수림(陰樹林)은 양수림(陽樹林)보다, 또 유령림(幼齡林)은 고령림(高齡林)보다 빽빽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에프(F;f ) 2010.08.20
- 이전
- 울페나이트(wul fenite)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