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운하(canal)

작성일 2010-08-20

선박의 항행 · 관개 · 용수 · 배수를 위해 내륙에 설치한 인공수로. 운하를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수운용 운하와 관개용 운하로 대별할 수 있다.

수운용 운하는 다시 해양선(海洋船)운하와 내륙운하로 구분된다.

해양선운하는 해양과 해양을 연결하는 운하로 수에즈 운하나 파나마 운하가 이에 속한다.

내륙운하는 두 하천을 연결하거나 하천에 병행하는 운하로 영국의 맨체스터 운하, 미국의 일리노이-미시간 운하가 유명하다.

운하를 구조적으로 분류하면 수평운하와 유문운하(有門運河)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운하는 수로의 고저차가 거의 없는 운하이며 그 대표적인 운하로 수에즈 운하를 들 수 있다.

유문운하를 만드는 이유는 높은 수면과 낮은 수면을 그대로 연락하면 수로의 유속이 너무 커지고 수로의 수심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류의 운하로는 파나마 운하, 독일의 킬 운하가 유명하며 파나마 운하는 이 방식으로 호면의 높이 25.9m의 가툰호(湖)까지 선박을 이동시키고 있다.

〔역사〕운하의 역사는 장구하며 고대 -오리엔트에서는 B.C. 3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에서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나일캉의 물을 이용한 운하가 만들어졌다.

또 B.C. 510년경에는 수에즈운하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운하가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1세에 의해 계획되었다고 전한다.

한편 동양에서는 황하문명(黃河文明)이 번영했던 중국에서 예로부터 크리크가 관개 · 치수용의 운하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12~13세기에 걸쳐 황하(黃河)와 양쯔강(揚子江)을 연결하는 당시로서는 세계 최대의 길이 약 1,900km에 이르는 대운하가 건설되었다.

이 중국의 대운하 시대까지의 운하는 서양이나 동양을 막론하고 수로의 하상구배(河床勾配)가 완만한 수평운하였다.

14세기경부터 중국과 네덜란드의 운하에 갑문이 도입되었으며 이 시기를 경계로 내륙운하는 큰 발달을 보았다.

18~19세기에는 토목기술의 진보와 함께 산업혁명에 의한 경제적 요청에 따라 운하건설이 활발해졌다.

이 시대는 교통사상「운하시대」라 불리며 l9세기의 철도교통의 발달, 20세기의 도로교통의 발달이 있기까지는 하천과 운하가 한 나라의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근대운하〕근대의 운하를 각국별로 살펴보면 영국에서는 1772년 머시강 하구에서 맨체스터에 이르는 길이 46km의 브리지워터 운하가 개통되었다.

이 운하의 성공이 근대운하 건설의 계기가 되어 영국 전토에 3,400km에 이르는 운하망이 생겼다.

이 밖에 유명한 운하로는 1894년에 개통된 길이 57km의 맨체스터십 운하가 있다.

프랑스의 운하망의 중심은 센강 이북에 있으며 총길이는 약 4,800km에 달한다.

유명한 것으로는 알자스 지방의 중앙을 칸스댐에서 스트라스부르까지 라인강과 평행으로 건조된 알자스 대운하를 들 수 있다.

네덜란드에는 저지배수(低地排水)와 치수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운하가 많다.

총길이는 약 7,000km에 달하며 로테르담항 · 암스테르담항과 내륙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벨기에도 네덜란드와 마찬가지로 배수용 운하망이 발달하여 수운용으로는 1948년에 완전 개통된 알베르 운하가 유명하다.

이 운하를 이용하여 리에주 중공업지대와 앤트워프의 무역항이 네덜란드를 우회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었다.

독일은 라인강 · 베저강 · 엘베강 · 오데르강 등 자연하천이 많아 이 하천들을 횡단하는 운하가 내륙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유명한 것으로는 루르 지방과 북해를 잇는 도르트문트-엠스 운하와 38년에 개통한 미텔란트 운하가 있다.

소련의 운하는 길이 13만km에 달한다.

유명한 것으로는 백해 발트해 운하(1933), 모스크바-볼가 운하(1937), 볼가-돈 운하(1962)가 있으며 이 운하들에 의해 모스크바가 바다와 연결되는 내륙항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19세기초 5대호를 중심으로 한 중요한 운하가 개통되었다.

이 나라 운하의 특징은 하천의 운하화에 의한 대규모의 운하가 많다는 점인데, 뉴욕주 발지 운하 · 일리노이 운하가 유명하다.

해양선 운하는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걸쳐 발달했다.

이러한 운하로서는 수에즈 운하(포트사이드-수에즈간 162km, 1869년 개통), 킬 운하(북해-발트해간 약 85km, 1895년 개통), 파나마 운하(태평양-카리브해간 약 82km, 1914년 개통)가 유명하며, 내륙운하인 맨체스터-십 운하(맨체스터-머지강간 57km, I894년 개통)와 함께 세계의 4대 운하로 꼽힌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유한소수(finite decimal) 2010.08.20
이전
유한군(finite group) 2010.08.2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