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운반체(carrier)

작성일 2010-08-20

① 미량 물질의 분리 · 추출 · 농축 · 제거 등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첨가하는 화학적 성질이 같거나 비슷한 물질. ㉠ 전해산화(電解酸化) 또는 환원에서 첨가하여 화학적으로 산화 또는 환원시키고 전류효율을 좋게 하는 물질을 말한다.

보통 세륨 · 바나듐 · 티탄 등 2종 이상의 이온가(價)를 가진 전이금속(轉移金屬)이 사용된다.

㉡ 방사성 동위원소의 분리 · 정제를 효율화하기 위해 첨가되는 비(非)방사성 물질을 말한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비방사성 동위원소를 쓰는 예가 많으며 일단 첨가한 비방사성 동위원소를 분리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동위원소 이외의 물질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나의 방사성 원소가 같은 원소의 비방사성 동위원소를 전혀 함유하지 않고 존재하는 상태를 무운반체 또는 캐리어 프리(carrier free)라고 한다.

보통 방사성 동위원소는 극히 미량(微量)이므로 무운반체로 다루면 접촉하는 표면에 쉽게 흡착되어 본래와는 전혀 다른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용하기 위해 운반체가 사용된다.

두 종류 이상의 방사성 동위원소의 혼합계(混合系)로 목적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침전에 의해 분리할 때, 목적하는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한 운반체를 첨가할 뿐 아니라 다른 공존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흡착공침(吸着共沈)하지 않고 모액(母液) 속에 잡아두는 운반체를 첨가해야 한다.

후자를 유지운반체 또는 홀드백 캐리어라 부른다.

반대로 목적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모액 속에 머물게 하고 그 밖의 것을 일괄하여 흡착공침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도 있다.

이 목적으로 첨가하는 운반체를 스캐빈저(scavenger)라 부른다.

예를 들면 코발트 60(Co)과 철 59(Fe), 그 외에 혼합물에서 Co을 분리할 때 염화수소(HCl) 산성용액으로 하여 Fe을 첨가하고 수산화암모늄으로 수산화철(Ⅲ)을 침전시켜 Fe 등을 제거한다.

이 때 Co이 수산화철(Ⅲ)의 침전에 흡착공침되지 않게 하기 위해 Co을 유지운반체로 첨가할 필요가 있다.

또 첨가한 FeCo 이외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흡착침공하고 있으며 스캐빈저로 작용한다.

② 촉매의 지지물체(석면 · 규조토 · 속돌(輕石) · 알루미나 등)나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고정상(固定相)이 되는 끓는점이 높은 액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체(규조토 · 알루미나 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에폭시수지(epoxy resin ) 2010.08.20
이전
운모(mica) 2010.08.2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