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유체(fluid)

작성일 2010-08-20

물체의 세 가지 상(相) 중에서 쉽게 변형하는 액체와 기체의 총칭. 물체는 흔히 고체·액체·기체의 세 가지로 분류되며 그 중 액체와 기체는 쉽게 변형하는 성질 때문에 운동방법도 비슷하다.

즉「흐른다」는 공통점 때문에 액체와 기체를 일괄하여 유체라고 한다.

유체의 운동을 연구하는 것이 유체역학이다.

실제의 물체는 다수의 원자·분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미세한 구조에 깊이 관여하지 않고 다수의 분자에 대해 평균적으로 물체의 성질과 운동을 생각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볼 때 물체를 연속물체라고 한다.

액체와 기체를 유체라고 할 때는 연속물체로 생각한다.

힘이 가해진 물체는 일종의 긴장상태에 있으며 이것을 수량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응력(應力 ; 變形力)의 개념이 쓰인다.

즉 물체내부의 임의의 점 P를 통과하는 임의의 평면 S를 생각하여 S의 양측 물체 부분이 서로 미치면단위면적당) 힘을 응력이라고 한다.

면에 수직인 응력의 성분을 법선응력, 면에 평행인 성분을 접선응력이라고 한다.

또 면의 양축 물체부분이 서로 밀 때 법선응력은 압력, 서로 당길때는 장력이라고 한다.

동일한 점 P에 대하여도 면 S를 취하는 방법에 따라 응력은 여러 가지로 변한다.

유체가 쉽게 변형하는 성질은「정지(靜止)상태에서는 접선응력이 0이고 법선응력은 압력이다」라고 표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접선응력이 존재하거나 법선 응력이 장력이라면 유체는 정지상태에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정지상태에 있는 유체의 경우는 압력의 크기가 일정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을 정지압력이라고 한다.

즉 정지한 유체 내부의 각 점의 긴장상태는 압력만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유체의 운동〕 유체가 운동할 때는 접선응력도 존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 용기에 물을 넣고 축을 연직(鉛直)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처음에는 정지하고 있던 물이 용기의 벽에 접하는 부분부터 점차 움직이기 시작하여 마침내 용기와 하나가 되어 회전한다.

이것은 운동하는 유체가 접선응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운동하는 유체에 접선응력을 생기게 하는 성질을 유체의 점성이라고 한다.

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는 점성이 작다.

그래서 운동중에도 접선응력이 나타나지 않는 가상적인 유체를 생각하여 이것을 완전유체 또는 비점성 유체라고 한다.

실재의 유체는 모두 점성유체이다.

액체의 밀도는 운동중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것을 이상화하여 밀도가 항상 일정한 유체를「줄어들지 않는 유체」라고 하고 이에 비해 밀도가 변화할 수 있는 유체를 「줄어드는 유체」라고 한다.

상식적으로 기체란 줄어드는 유체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운동할 때 흐름 속의 각 점 의 압력은 속도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속도변화가 작으면 압력변화가 작고 따라서 기체라도 밀도변화는 작다.

그런 경우 기체를 줄어들지 않는 기체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 U의 기류(氣流)가 정지물체에 부딪힐 때 그 기체 속을 전파하는 음파(音波)의 속도를 C라 하면 마하수(數) M=U/c가 0.5 정도 이하이면 그 기체를 줄어들지 않는 유체로 볼 수 있다.

액체 속에서도 음파가 전해지며 음파는 밀도 및 압력의 변화가 매질 속에서 파동하는 전해지는 현상이기 때문에 액체도 줄어드는 유체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또 아스팔트·빙하·지각 등도 상식적으로는 고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변형하면서 유동하므로 유체로서 논의될 수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우주흑체복사 2010.08.2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