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기호(gene symbolization)

어떤 형질을 지배하는 유전자에 주어진 이름 및 기호. 유전학에서는 그 기호를 국제적으로 단일화시켰으며 형질의 연상이나 어원(語源)을 중요시한다.
유전자 기호는 1958년 8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0회 국제유전학회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된 유전자 기호명명법규약에 따라 사용되다가 제12회(1968) 국제유전학회에서 약간 수정되었다.
이 규약은 어떤 강제성은 없으나 유전학자들이 지켜야 할 내용들이다.
규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유전자의 명명에는 국제성이 높은 국어를 사용한다.
② 유전자의 기호는 그 명칭에서 유도하며 그것은 가능한 한 이탤릭체의 로마글자로 쓰되 될 수 있는대로 짧게 쓴다.
예로써 초파리의 흔적적인 날개는 rudimentary에서 r로 쓴다.
③ 우열관계가 분명할 때 우성유전자에 대해서는 대문자, 열성유전자에 대해서는 소문자로 표시한다.
④ 복대립인자(複對立因子)의 기호는 기본이 되는 문자의 오른쪽에 문자나 숫자를 쓴다.
단, 기본유전자의 기호는 그 상단에 아무것도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예로써 사람에 있어서 ABO식 혈액의 응집원에 대해
로 표기한다.
⑤ 표준형 또는 야생형 유전자는 +로 표시한다.
+를 이에 대응되는 유전자 기호의 오른쪽 상단에 붙이거나 +의 오른쪽 상단에 대응되는 유전자 기호를 붙이거나 또는 +만을 사용하거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로써 초파리에서 또는
또는 +로 표기한다.
⑥ 표현형이 비슷한 두 개 이상의 유전자는 한 개의 기본 기호로써 나타낸다.
비대립자리에 있는 유전자는 기본기호 다음에 하이픈을 붙여 분자 또는 숫자를 쓰거나 기본기호의 오른쪽 아래에 문자를 쓰고 독립의 돌연변이에 의해 만들어진 대립유전자는 기본기호의 오른쪽 상단에 숫자로 표시한다.
예로써 쥐의 뇌수종의 기본기호는 hy이며 비대립유전자는 hy-1, hy-2, hy-3 또는 ,
,
등으로 표시하고 대립유전자는 od,
,
등으로 표시한다.
⑦ 억제유전자·억압유전자 및 촉진유전자는 각각 I, Su, En(열성일 때는 i, su, en)의 다음에 하이픈을 붙이고 그에 의해 지배되는 유전자의 기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닭의 착색억제유전자는 우성이면 I-C, 나팔꽃에 서 잠자리 잎(dragonfly leaf)의 억제유전자는 열성이면 su-dg로 표시한다.
⑧ 지장이 없는 한 치사유전자는 /또는 L, 생식불능 또는 불화 합성유전자는 S 또는 S로 표시한다.
⑨ 연관군(聯關群) 및 이에 대응하는 염색체의 번호는 가능한 한 아라비아숫자로 표시한다. ⑩ 성염색체는 X와 Y로 표시한다.
⑪ 모계(母系)의 것을 사선의 앞 또는 횡선의 위에 쓴다.
하나의 분수는 하나의 연관군에 해당하며 다른 연관군에 속하는 각 분수식은 세미콜론 ( ; )으로 간격을 두고 쓴다.
⑫ 염색체 이상에서 결핍은 , 중복은
, 역위는
, 전좌는 T, 전위는
등으로 표시한다.
⑬ 접합자의 염색체수를 2n, 배우자의 염색체수는 n, 염색체의 기본수는 x로 표시한다.
⑭ 핵외유전자(核外遺傳子)의 기호는 괄호 안에 넣고 유전자식의 앞에 놓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에틸렌(ethylene) 2010.08.20
- 이전
- 에틸레이트(ethylate )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