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에크만나선(Ekman spiral )

작성일 2010-08-20

바람이 해면 위를 일정한 풍속으로 계속해서 불면 해양의 상층 약 100m 깊이까지의 해수에 풍성류(風成流 ; 에크만의 풍성류)가 생기는데, 이 흐름의 각 심도(深度)에서 유속 벡터의 끝을 연결하여 생기는 나선. 풍성류는 북(남)반구의 해면에서는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우(좌) 45˚방향으로 흐르고, 깊이에 따라 그 방향을 바꾸면서 감쇠하기 때문에 이런 나선이 생긴다.

대기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을 적용할 수 있다.

지상약 1,000m 이하에서는 풍향이나 풍속이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각 높이의 바람 벡터의 끝을 연결하면 풍성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크만 나선이 생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