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요오드(iodine)

작성일 2010-08-20

원소기호 I, 원자번호 53, 원자량 126.9045, 지각 중의 존재도 0.5ppm(58위), 안정핵종 존재비 I=100%, 녹는점 113.6℃, 끓는점 184.4℃, 액체의 비중 3.71(185℃), 고체의 비중 493(25℃), 임계온도 546℃, 물에 대한 용해도 0.029g/100g(20℃), 전자배치 [Kr] 4 5 5, 주요 산화수 -1, 1, 5, 7. 주기율표 7B족에 속하는 할로겐 원소의 하나. 옥소(沃素)라고도 한다.

천연으로는 I만이 존재하며 많은 인공방사성 동위원소가 있다.

1811년에 프랑스의 B. 쿠르투아가 해조회(海藻灰) 속에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

F. 클레망과 J. B. 데조름에게 그 연구가 위촉되었으며, 또 J. L. 게이-뤼삭도 병행하여 상세히 그 성질을 연구함에 따라 그 성질이 염소를 매우 닮은 새로운 원소임을 확인했다.

기체가 보라색을 나타내는 데서 그리스어의 ids(보라색)를 따서 명명했다.

천연으로는 해조 · 해산동물 속에 주로 유기화합물로서 존재하고 칠레초석 속에 요오드산염으로서 함유되어 있다.

척추동물의 갑상선에 티록신으로 존재하여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유전함수(油田鹹水) 속에도 함유되어 있다.

〔성질 · 용도〕 기체에서는 I로 존재하며 I-I 결합길이는 2.663A이다.

액체는 갈색을 띠며, 고체는 흑자색(黑紫色)이고 금속광택을 가진 인편상(鱗片狀)의 결정이다.

사방정계와 단사정계의 두 변태가 있다.

휘발성이고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승화하기 쉽다.

증기는 보라색이다.

증기압력은 20℃에서 0.1988torr, 100℃ 에서 45.89 torr이며 승화열 62.38kJ/mol(18℃), 증발열 62.26kJ/mol, 융해열 15.65kJ/mol, 임계온도 533℃ 이다.

I ? 2I의 해리반응(解離反應)은 상압에서는 600℃부터 시작하여 1,500℃에서는 거의 완전히 해리한다.

요오드의 증기는 빛의 조사(照射)에 의해 형광을 발한다.

표준전극전위(標準電極電位) I(고체)+2e=2I은 0.536V(25℃)이다.

물에는 10℃에서 0.2g/d㎥ 정도 녹아서 갈색을 나타낸다.

염소 · 브롬에 비해 훨씬 잘 녹지 않는 것은 요오드원자간의 공유결합이 강하기 때문이다.

〔방사성 요오드〕요오드에는 질량수 115부터 140에 이르기까지 많은 동위원소가 있으며 I만이 안정되고 그 밖의 것은 모두 방사성이다.

그 중 I은 핵분열 생성물이며, 물리적 반감기는 8일인데 핵분열에서의 수득률이 높은 데서 원자력의 방사선 안전상 주목되는 핵종이다.

즉 대기 중의 핵실험에서는 대량으로, 원자로사고의 경우에도 다소는 일반 환경 중에 방출된다.

환경 중에 방출된 I은 우유나 채소를 통해 사람에게 섭취되어 주로 갑상선에 침착한다.

사람의 갑상선은 성인이 약 20g으로 작기 때문에 단위섭취량당의 조직선량(組織線量)은 다른 많은 원소보다 크며, 특히 유유아(乳幼兒)는 이런 경향이 강하다.

갑상선이 대량으로 방사선을 피폭하면 갑상선암이 될 확률이 커진다.

〔생체와 요오드〕요오드는 생체 속에 존재하는 미량원소의 일종으로 다양한 생물에 존재한다.

식물(요오드화물로서 해조 등에 함유된다)에서의 역할은 명확하지 않으나 척추동물에서는 필수이며 갑상선에 다량으로 함유되고 티록신과 같은 갑상선호르몬 속에 존재한다.

갑상선에서 요오드는 저장단백질 티로 글로불린의 티로신 잔기(殘基)에 결합해 있으며 이것이 단백효소의 작용을 받으면 호르몬으로서 방출된다.

또 곤충과 갑각류에서도 단백질과 화합물을 이루고 주로 큐티쿨라층에 편재되어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요오드값(iodine value) 2010.08.20
이전
요소(urea) 2010.08.2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