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이성질현상(構造異性質現象)의 일종인 위치이성질현상에 의해 생기는 이성질체. 주로 유기화합물에서 볼 수 있다.
사슬탄화수소의 분쇄(分銷)의 유무, 또는 분쇄의 위치에 따른 이성질체, 벤젠 등 고리화합물의 치환체에서의 치환기 위치가 다른 이성질체 등이 있다.
탄소원자수 5인 포화탄화수소를 예로 들면 펜탄·이소펜탄·네오펜탄(2, 2-디메틸프로판 또는 테트라메틸메탄)의 3종이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원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성질체의 종류도 많아진다.
벤젠의 2치환체에는 오르토·메타·파라의 세 종류가 있으며 3치환체가 되면
형에서 3종, C
H
X
Y형에서 6종, C
H
XYZ형에서는 10종의 위치이성질체가 있을 수 있다.
나프탈렌고리와 그 밖의 고리 모양 구조에서도 여러 가지 위치이성질체가 있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