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ohm )

MKS 단위계의 전기저항의 단위로서 국제단위계의 조립단위(組立單位). 기호는 으로 표시한다.
현재는 「1A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두 점 사이의 전압이 1V일 때, 그 두 점 사이의 전기저항을 말한다」고 정의된다.
이 정의는 1948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해졌는데 그 이전에는 08년에 국제전기표준협회에서 「얼음의 융해온도에 있어서 질량 14.4521g, 길이 106,300cm인 균일한 절단면적을 가진 수은주(水銀柱)의 불변전류에 대한 전기저항을 말한다」고 정의되었다.
이 명칭은 독일의 실험물리학자 G. S. 옴의 업적에 연유하여 붙여졌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에어로졸(aerosol) 2010.08.20
- 이전
- 게오르그 시몬 옴(Georg Simon Ohm)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