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심분리기(centrifuge)

원심력을 이용하여 혼합되어 있는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거나 여과하는 기계. 수분을 함유하는 세탁물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전기세탁기에 부속된 회전원통(탈수기)도 원심분리기의 일종이다.
원심분리기는 회전하는 용기로 되어 있다.
이 중 회전원통에 구멍이 나있지 않은 것은 미립자 · 콜로이드 등을 비중의 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우유의 탈지, 혈장의 분리 등이다.
이 때는 매분 5,000~1만 회전의 고속회전을 한다.
탈수기처럼 원통에 구멍이 나있는 것은 여과용으로 사용되며 원심여과기라고도 한다.
설탕의 결정분리, 주스의 액을 맑게 할 때 등에 이용된다.
원심분리기는 중력의 몇 배에 해당 하는 원심력을 발생시키느냐에 따라 그 성능이 표시 된다.
이것을 원심효과라고 한다.
즉 원심효과=(원심가속도) / (중력가속도)이다.
원심력의 크기는 질량×반지름×(각속도)2으로 표시되므로 원심효과는 원심분리기의 반지름과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속도는 매분 1,000 회전에서 수만 회전까지 있다.
원심효과 100이하의 것은 저속원심분리기, 1만 정도의 것은 고속원심분리기, 10만 이상의 것은 초고속원심분리기라고 한다.
원심분리기는 선광(選鑛) · 제약 · 식품 등 공업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원심분리법(centrifugal method) 2010.08.20
- 이전
- 에디슨전지(Edison’s storage) 2010.08.20
